제6장 사회서비스 고도화 전략 진단과 정책 과제 131 제1절 사회서비스 고도화의 필요성 133 제2절 사회서비스의 고도화 전략의 검토 138 제3절 한국 사회서비스의 현황과 주요 쟁점 144 제4절 사회서비스 고도화 전략의 재검토 154
제7장 사회적 고립 대응정책 추진현황과 과제 159 제1절 사회적 고립 대응정책 추진현황 161 제2절 사회적 고립 대응정책 효과성 167 제3절 사회적 고립 대응을 위한 정책 과제 제언 170
제8장 새로운 복지 사각지대와 대응방안: 1인가구부터 사회적 고립까지 173 제1절 혼재된 개념과 실태 175 제2절 생애주기 관점과 적용 184 제3절 새로운 복지 사각지대 대응방향과 정책 과제 194
제9장 저출산 대책의 국민 체감도 제고를 위한 방안 203 제1절 들어가며 205 제2절 저출산 대책 207 제3절 저출산과 가치관 및 인식 212 제4절 저출산 대책에 관한 국민의 생각과 정책의 추진 방향 220
제10장 결론: 지속가능한 복지제도 대안 및 과제 모색 231 제1절 한국형 복지국가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제언 233 제2절 사회보장제도 통합적 관리·운영을 위한 정책 과제 236 제3절 기초 소득보장제도 발전 방향 및 정책 과제 238 제4절 노후소득보장체계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 과제 244 제5절 사회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정책 과제 253 제6절 사회적 고립 대응을 위한 방안 및 정책 과제 256 제7절 새로운 복지 사각지대 대응을 위한 방안 및 정책 과제 257 제8절 저출산 대책의 국민 체감도 제고를 위한 정책 제언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