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건강문해력(Health Literacy)의 영향요인 파악 및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Literacy and the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on Healthcare Utilization

제목
건강문해력(Health Literacy)의 영향요인 파악 및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Literacy and the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on Healthcare Utilization
저자

문석준 ; 김정훈 ; 최용석 ; 김희년(Kim, Hee-Nyun)

저자(타언어)
Moon, Seokjun ; Kim, Jung-Hoon ; Choi, Yongseok ; Kim, Hee-Nyun
키워드
건강문해력 ; 헬스리터러시 ; 의료이용 ; 한국의료패널
발행연도
2024-12-3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4권 제4호, pp.130-150
초록
건강문해력(Health Literacy)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연구 결과들은 개인의 건강관리뿐 아니라, 의료이용 측면에서 건강문해력의 가치를 보고 한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건강문해력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건강문해력 수준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국의료패널 2021년도 연간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여성, 고령, 낮은 교육 수준, 낮은 소득 수준, 민간보험 미가입, 등이 낮은 건강문해력과 관련 있음을 파악했다. 또한 의료이용의 영향요인을 파악한 결과 주요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건강문해력 수준이 높을수록 의료이용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세부집단 분석 결과 이러한 차이가 고령층에서 특히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정부 차원에서 건강문해력 제고와 의료이용 감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이 추진 중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건강문해력 제고, 의료이용 감소 정책 수립 시 명확한 정책 목표 가 필요하며 특히 건강문해력의 영향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우리 사회가 건강문해력의 개념을 정립함에 있어 그 개념의 외연을 건강관리 수준에만 국한하지 않고 적절한 의료이용역량까지 포괄하는 전향적 논의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4.44.4.130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안전망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