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보건의료, 노인여가복지 인프라의 조절효과 = The Effect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on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A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Healthcare and Older Adults' Leisure and Welfare Infrastructur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창숙
dc.contributor.author하정화
dc.date.accessioned2025-01-03T06:06:12Z
dc.date.available2025-01-03T06:06:12Z
dc.date.issued2024-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3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가 자살생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지역사회의 보건의료, 노인여가복지 인프라가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살생각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이 지역사회의 보건의료, 노인여가복지 인프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병관리청의 2021년 지역사회 건강조사와 시군구 단위의 2020년 국가승인통계자료를 이용했으며, 만 65세 이상 노인 74,492명과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건강 차원의 통증 및 불편감, 기능적 건강 수준, 주관적 건강 상태, 정신적 건강 차원의 우울 임상적 진단군 여부, 인지장애 경험 여부 모두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사회의 보건의료, 노인여가복지 인프라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건강 차원의 기능적 건강 수준과 주관적 건강 상태는 지역사회의 노인여가복지 인프라와 상호작용하여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community infrastructure (e.g., availability of health care facilities and centers for leisure activities) on older adults’ suicidal ideation (SI). Further, it investigated whether the effect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on SI differed by the availability of community infrastructure in the region. Data from the 2021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and 2020 administrative data were used. A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74,492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ver, residing in 229 region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hysical health dimensions such as pain and discomfort, functional health level,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as well as mental health dimensions such as clinical diagnosis of depression and experience of cognitive impairmen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I among older adults. Second, community infrastructure for health and leisure activitie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I among older adults. Third, functional health level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interacted with the community infrastructure for leisure activities to affect SI among older people.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preventing suicide among older adults were discussed.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 보건의료, 노인여가복지 인프라의 조절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on Suicidal Ideation among Older Adults: A Moderating Effect of Community Healthcare and Older Adults' Leisure and Welfare Infrastructure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노인
dc.subject.keyword자살생각
dc.subject.keyword건강
dc.subject.keyword지역사회 보건의료 인프라
dc.subject.keyword지역사회 노인여가복지 인프라
dc.subject.keywordOlder Adults
dc.subject.keywordSuicidal Ideation
dc.subject.keywordHealth
dc.subject.keywordCommunity Healthcare Infrastructure
dc.subject.keywordCommunity Infrastructure for Older Adults’ Leisure and Welfare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Changsoo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 Jung-Hwa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4.44.4.365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4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24-12-31
dc.citation.startPage365
dc.citation.endPage39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4권 제4호, pp.365-39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4 No.4, pp.365-391
dc.date.dateaccepted2025-01-03T06:06:12Z
dc.date.datesubmitted2025-01-03T06:06:12Z
dc.subject.kihasa노인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