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중년 1인 가구와 노년 1인 가구의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뢰, 연대성, 네트워크 변화궤적에 따른 사회자본 잠재계층을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Social Capital in Middle-Aged and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Focus on the Latent Class of Social Capital, Based on the Trajectories of Trust, Solidarity, and Network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신서우
dc.date.accessioned2025-01-03T04:40:47Z
dc.date.available2025-01-03T04:40:47Z
dc.date.issued2024-12-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3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년 1인 가구와 노년 1인 가구의 사회자본 형성 및 변화 유형을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다집단 성장혼합모형을 적용하여 중년과 노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신뢰, 연대성, 네트워크의 변화 궤적에 따라 사회자본 유형을 도출하고,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하여 중년 1인 가구, 노년 1인 가구의 사회자본 유형 간의 비교를 통해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규명하였다. 자료는 7차, 10차, 13차, 16차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연구 대상은 중년(268명)과 노년(712명) 1인 가구 총 980명이다. 분석 결과 중년 1인 가구의 사회자본 잠재집단은 계층Ⅰ(중신뢰·고연대성·저네트워크 유지집단), 계층Ⅱ(고신뢰·고네트워크 유지 및 중연대성 감소집단), 계층Ⅲ(고신뢰·고연대성·고네트워크 유지집단), 계층Ⅳ(중신뢰·중연대성·저네트워크 유지집단) 로 유형화되었고, 성별, 소득 수준, 건강 수준이 사회자본 형성 및 변화에 미치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노년 1인 가구 또한 계층Ⅰ(고신뢰·고연대성·고네트워크 유지집단), 계층Ⅱ(중연대성·저네트워크 유지 및 저신뢰 감소집단), 계층Ⅲ(고연대성 유지 및 고신뢰·중네트워크 감소집단), 계층Ⅳ(저신뢰·저연대성·고네트워크 유지집단)로 사회자본 잠재집단이 도출되었고, 성별, 나이, 학력, 소득 수준, 건강 수준이 사회자본 잠재계층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중년과 노년 1인 가구의 사회자본 증진을 위한 사회정책 및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ation and trajectory of social capital in middle-aged and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along with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influence it. To this end, a multi-group growth mixture model was applied to identify types of social capital based on the levels and trajectories of trust, solidarity, and networks among these households. The model also assessed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influencing each type.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7th, 10th, 13th, and 16th Korean Welfare Panel, including a total of 980 middle-aged (268) and elderly (712) single-person households. The analysis revealed that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latent classes of social capital (Class I through Class IV), and that gender, income level, and health level had different effects on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change. Also,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latent classes of social capital (Class I through Class IV), and that gender, age, education, income level and health level had different effects on the social capital latent class. Based on these findings, social policies and practices are proposed to enhance the social capital of middle-aged and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2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중년 1인 가구와 노년 1인 가구의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뢰, 연대성, 네트워크 변화궤적에 따른 사회자본 잠재계층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Factors Influencing Social Capital in Middle-Aged and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Focus on the Latent Class of Social Capital, Based on the Trajectories of Trust, Solidarity, and Network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중년 1인 가구
dc.subject.keyword노년 1인 가구
dc.subject.keyword사회자본
dc.subject.keyword다집단 성장혼합모형
dc.subject.keyword성장혼합모형(R3STEP)
dc.subject.keyword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
dc.subject.keyword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
dc.subject.keywordSocial Capital
dc.subject.keywordMulti-Group Growth Mixture Model
dc.subject.keywordGrowth Mixture Model (R3STEP)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Seo-Woo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4.44.4.469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4
dc.citation.number4
dc.citation.date2024-12-31
dc.citation.date2024-12-31
dc.citation.startPage469
dc.citation.endPage49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4권 제4호, pp.469-49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4 No.4, pp.469-494
dc.date.dateaccepted2025-01-03T04:40:47Z
dc.date.datesubmitted2025-01-03T04:40:47Z
dc.subject.kihasa노인복지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