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최근 프랑스의 가족정책 동향과 시사점 = Recent Family Policy Responses in France and Their Implic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임밝네
dc.date.accessioned2024-12-25T23:58:22Z
dc.date.available2024-12-25T23:58:22Z
dc.date.issued2024-12-31
dc.identifier.issn2586-084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348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3/2024.12.7
dc.description.abstract프랑스는 출산주의 가족정책을 통해 장기간 적정 수준의 출산율을 유지하였다. 프랑스의 가족정책은 영유아 보육서비스의 질 향상과 여성의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어 상당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프랑스는 여전히 유럽에서 가장 높은 합계출산율(1.68)을 보이고 있지만, 2011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4년 초,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국가의 저출산 대응 정책으로 기존 육아휴직제도를 대체할 출생 휴가 신설을 발표하고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이 글은 최근 프랑스의 영유아 공공서비스 개혁과 출생 휴가 도입의 배경을 분석하고, 한국의 저출산 대응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dc.description.abstractFrance’s natalist family policies have a remarkable track record, having for many years kept the total fertility rate (TFR) near replacement level by focusing on improving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for young children and supporting women in balancing work and family. Currently at 1.68, France’s TFR, though still the highest among European countries, has continuously declined since 2011. In response, French President Macron announced in early 2024 the launch of a new childbirth leave policy to replace the existing parental leave, along with other measures to address the falling birthrates. This article explores the background of France’s introduction of the new childbirth leave policy and public service reforms for young children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최근 프랑스의 가족정책 동향과 시사점
dc.title.alternativeRecent Family Policy Responses in France and Their Implication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영유아 돌봄정책
dc.subject.keyword일-가정양립정책
dc.subject.keyword사회적 돌봄
dc.subject.keywordChildcare Policies
dc.subject.keywordWork-family Balance Policies
dc.subject.keywordSocial Care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Im, Bakne
dc.identifier.doi10.23063/2024.12.7
dc.citation.title국제사회보장리뷰
dc.citation.title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dc.citation.volume2024
dc.citation.volume31
dc.citation.number겨울
dc.citation.date2024-12-31
dc.citation.startPage85
dc.citation.endPage10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국제사회보장리뷰 2024년 겨울 31호, pp.85-10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2024 No.겨울 31, pp.85-100
dc.date.dateaccepted2024-12-25T23:58:22Z
dc.date.datesubmitted2024-12-25T23:58:22Z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dc.subject.kihasa가족정책
dc.description.section이슈분석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인구와 가족 > 가족정책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