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여성 근로자를 위한 모성보호제도 현황과 과제: 모성보호관계법의 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Implications for Female Workers and Beyond

제목
여성 근로자를 위한 모성보호제도 현황과 과제: 모성보호관계법의 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Maternity Protection Policies: Implications for Female Workers and Beyond
저자

최지희(Choi, Jihee)

저자(타언어)
Choi, Jihee
키워드
여성 근로자 ; 모성보호 ; 일가정양립
발행연도
2024-12-0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복지포럼 2024년 12월 통권 제338호, pp.64-79
초록
여성이 생애주기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결혼과 임신, 출산, 육아 등의 생활 사건은 그들의 경제활동 참여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 경력단절의 발생,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일자리 질 저하, 기혼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어려움의 원인과 정책적 개입 지점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20여 년간의 모성보호관계법 개정 과정을 살펴보았다.
2001년 관계법 전면 개정을 시작으로 압축적인 제도 개선을 이뤄 왔으나, 여전히 지원 대상보다는 지원 수준을 확대하는 수직적 확대로 인해 제도를 사용할 수 있는 근로자와 그렇지 못한 근로자 간 격차를 좁히지 못하였다. 출산과 육아로 인한 업무 공백을 안정적으로 메울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모성보호 용어를 수정하여 모성보호관계법에서 다루는 내용이 비단 모성보호에 한정되거나 여성만의 문제가 아님을 법적·제도적·사회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URI
https://doi.org/10.23062/2024.12.6
ISSN
1226-3648
DOI
10.23062/2024.12.6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안전망
사회서비스 > 여성복지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