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관계 = Familial and Social Relationships among Older Korea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선희
dc.date.accessioned2024-11-13T23:59:55Z
dc.date.available2024-11-13T23:59:55Z
dc.date.issued2024-11-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6106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4.11.5
dc.description.abstract이 글은 한국 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관계 현황을 파악하여 노인의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부족한 가족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가족 및 사회적 관계망의 형태 및 규모(구조적 차원)와 접촉 실태, 지원 교환(기능적 차원)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 단독가구의 고착화, 혈연 중심 관계망의 축소와 동년배 중심 관계망의 강화, 사회적 고립의 위험집단 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고립 위험이 높은 노인에 대한 정책적 관심 강화, 동년배와의 관계 강화를 위한 지원, 비공식적 돌봄을 보완할 수 있는 기제 다양화 등을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familial and social relationships among the elderly in Korea and propose strategies to address ongoing changes. Utilizing data from the 2023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 analyzed the structural aspects (forms and sizes) of family and social networks, as well as the functional aspects (contact patterns and support exchanges). The analysis identified trends such as the entrenchment of single-person elderly households, the contraction of kin-centered networks, the expansion of peer-centered networ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t risk of social isol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 strengthening policy attention for elderly individuals at high risk of social isolation, enhancing support for peer relationships, and diversifying mechanisms to complement informal caregivin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노인의 가족 및 사회적 관계
dc.title.alternativeFamilial and Social Relationships among Older Korean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노인실태조사
dc.subject.keyword가족
dc.subject.keyword사회관계
dc.subject.keyword사회적 고립
dc.subject.keywordNational Survey of Older Person
dc.subject.keywordFamily
dc.subject.keywordSocial Relations
dc.subject.keywordSocial Isolation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un Hee
dc.identifier.doi10.23062/2024.11.5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4
dc.citation.volume337
dc.citation.number11
dc.citation.date2024-11-01
dc.citation.startPage52
dc.citation.endPage6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4년 11월 통권 제337호, pp.52-6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4.11 No.337, pp.52-64
dc.date.dateaccepted2024-11-13T23:59:55Z
dc.date.datesubmitted2024-11-13T23:59:55Z
dc.description.subject2023년 노인실태조사와 노년기 삶의 특성
dc.description.subjectCharacteristics of Living in Later Life, Based on the 2023 Survey of Older Koreans
dc.subject.kihasa노인복지
dc.subject.kihasa고령화대응
dc.description.section이달의 초점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