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의 고용 위협과 건강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 A Scoping Review of the Impact of Negative Employment Change on Healt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재연
dc.contributor.author신정훈
dc.contributor.author유명순
dc.date.accessioned2024-10-07T05:25:46Z
dc.date.available2024-10-07T05:25:46Z
dc.date.issued2024-09-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952
dc.description.abstract코로나19 팬데믹은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고용 변화를 촉발했고, 이를 통해 기존의 인구사회학적 조건과 건강이 맺는 관계를 변화시켰다는 점에서 기존의 경제 위기와 구분된다. 그러나 그 특수성에 관한 문헌의 종합적 고찰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고용 위협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지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고찰을 위해 2024년 2월 29일까지 발표된 국내외 문헌을 Joanna Briggs Institute(JBI)에서 제시한 단계를 따라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47편의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 국가, 자료 수집 시기, 연구 방법과 활용 변수를 파악하고, 고용 위협과 건강의 주제 범위를 확인하였다. 고찰 결과, 실업의 건강 영향을 설명하는 경제적 박탈,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이론 관점을 확인하였다. 장기적 영향 및 신체 건강 영향을 평가한 연구는 양적으로 부족했으며, 구조적 차별을 받는 집단의 고용과 건강 문제에 관한 연구의 공백이 확인되었다. 향후 증거 기반의 위기 대응 정책을 위해 공중보건 재난의 고용과 건강 영향 연구가 적극적으로 시도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COVID-19 pandemic has induced unprecedented shifts in employment dynamics, yet a comprehensive review of its impact on health remains scarce. This study aims to delineate the landscape of research regarding the repercussions of negative employment changes on healt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erving as a roadmap for future research endeavors. Following the methodology outlined by the Joanna Briggs Institute (JBI),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up to February 29, 2024, was analyzed. Forty-seven pertinent documents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by country, data collection timing, research methodology, and variables employed. This review revealed the multifaceted nature of negative employment changes and health outcomes, spanning economic deprivation, social support, and stress theories to elucidate the health consequences of unemployment. However, quantitative studies on long-term impacts and physical health effects were found to be lacking, alongside gaps in research on employment and health disparities among marginalized groups. Moving forward, there is a pressing need to undertake robust investigations into the employment and health outcomes of public health crises, guiding evidence-based policy responses.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2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의 고용 위협과 건강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dc.title.alternativeA Scoping Review of the Impact of Negative Employment Change on Healt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고용 위협
dc.subject.keyword코로나19
dc.subject.keyword건강 영향
dc.subject.keyword주제범위 문헌고찰
dc.subject.keywordNegative Employment Change
dc.subject.keywordCOVID-19
dc.subject.keywordHealth Outcome
dc.subject.keywordScoping Review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Jae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n, Jeongho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u, Myoungsoon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4.44.3.252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4
dc.citation.number3
dc.citation.date2024-09-30
dc.citation.startPage252
dc.citation.endPage27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4권 제3호, pp.252-27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4 No.3, pp.252-272
dc.date.dateaccepted2024-10-07T05:25:46Z
dc.date.datesubmitted2024-10-07T05:25:46Z
dc.subject.kihasa미래질병위험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