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청년·중년 여성 임금근로자의 위험음주 영향 요인에 관한 종단 연구: 젠더 규범과 근로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 A Longitudin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azardous Drinking among Young and Middle-Aged Female Employees: Focusing on Gender Norms and Work Environment Factors

제목
청년·중년 여성 임금근로자의 위험음주 영향 요인에 관한 종단 연구: 젠더 규범과 근로 환경 요인을 중심으로 = A Longitudin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Hazardous Drinking among Young and Middle-Aged Female Employees: Focusing on Gender Norms and Work Environment Factors
저자

박가영 ; 김태영 ; 유수정

저자(타언어)
Park, Kayoung ; Kim, Taeyoung ; Yu, Sujeong
키워드
사회구조적 이론 ; 여성 음주 ; 젠더 규범 ; 근로 환경
발행연도
2024-09-30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4권 제3호, pp.273-294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구조적 관점에서 여성의 젠더 규범과 근로 환경 요인이 위험음주에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고, 청년 세대와 중년 세대에 따라 위험음주 영향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 7~9차 결합 데이터 중 만 19세 이상 64세 이하 여성 임금근로자 12,840명의 자료를 추출하여 패널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젠더 규범의 경우 청년 세대에서는 성 역할 인식, 중년 세대의 경우 성 역할 인식과 가족 가치관이 모두 위험음주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세대 간의 차이를 보였다. 근로 환경 요인의 경우 청년 세대는 근로시간이 낮고 월 임금이 높을 경우 위험음주가 될 확률이 높아지는 반면, 중년 세대는 학력이 높고 근로시간이 많을 경우 위험음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세대 간의 차이를 보였다. 또한 우울과 흡연은 청년과 중년 세대 모두에서 위험음주의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세대별 여성 위험음주 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4.44.3.273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여성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