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부모의 미취업이 자녀의 주관적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arental Joblessness on Children’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봉균
dc.date.accessioned2024-10-07T01:34:47Z
dc.date.available2024-10-07T01:34:47Z
dc.date.issued2024-09-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94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부모의 미취업이 자녀의 주관적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가정 내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이 다른 상황에서 부모의 취업 상태를 아버지의 미취업과 어머니의 미취업으로 구분한 후 각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이 자녀의 성별, 나이,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KCYPS 2018)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정효과 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미취업이 자녀의 주관적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영향은 자녀의 성별이 여자인 경우, 자녀의 나이가 어린 경우, 그리고 거주지역이 비수도권인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자녀 교육에 대한 투자 감소보다는 자녀의 스트레스 증가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자리 상실의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일자리를 잃은 사람에 대한 지원이 보다 포괄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article examines the effect of parental joblessness on children’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Given the different roles of fathers and mothers in the household, the impact of fathers’ and mothers’ joblessness was investigated separately. I also examined whether this impact differed depending on the children’s gender, age, and residential area. Fixed-effects results show that paternal joblessness has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This impact is particularly evident among female children, younger children, and children living in non-metropolitan areas. Analyzing the mechanism behind these results, I found that the negative effects of fathers’ joblessness are due to increased stress in children rather than reduced investment in children’s edu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more comprehensive support programs for people who lose their jobs.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부모의 미취업이 자녀의 주관적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Parental Joblessness on Children’s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미취업
dc.subject.keyword학업성취도
dc.subject.keyword스트레스
dc.subject.keywordKCYPS 2018
dc.subject.keywordJoblessness
dc.subject.keywordAcademic Achievement
dc.subject.keywordStress
dc.subject.keywordKCYPS 2018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Bongkyun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4.44.3.429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4
dc.citation.number3
dc.citation.date2024-09-30
dc.citation.startPage429
dc.citation.endPage45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4권 제3호, pp.429-45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4 No.3, pp.429-450
dc.date.dateaccepted2024-10-07T01:34:47Z
dc.date.datesubmitted2024-10-07T01:34:47Z
dc.subject.kihasa노동연계복지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