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에 대한 국제 동향과 함의: 중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International Trends in Preconception Care Support Policies: A Focus on China and Japan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나경 |
dc.contributor.author | 정연 |
dc.contributor.author | 이재은 |
dc.date.accessioned | 2024-09-25T23:57:26Z |
dc.date.available | 2024-09-25T23:57:26Z |
dc.date.issued | 2024-09-30 |
dc.identifier.issn | 2586-0844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907 |
dc.identifier.uri | https://doi.org/10.23063/2024.09.8 |
dc.description.abstract |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서는 임신 전부터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인을 인지하고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국제적으로 임신 전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여러 국가들에서 임신 전 건강관리를 위한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 일본은 국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제공하는 임신 전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해 임신 전 건강관리에 대한 교육과 건강검진, 상담에 이르기까지 포괄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국제 동향을 살펴보고, 한국의 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To ensure healthy pregnancies and childbirths, it is important that interventions are made early on, building on an understanding of risk factors that may start having effects on pregnancy even before conception. As the importance of preconceptual health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at the international level, many countries have developed guidelines and policies for preconception care. China and Japan are examples of countries where preconception care services are provided at both national and local levels in a comprehensive range, encompassing education, health checkups, and consultations. This article examines these preconception care service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for policymaking in Korea.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13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임신 전 건강관리 지원에 대한 국제 동향과 함의: 중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dc.title.alternative | International Trends in Preconception Care Support Policies: A Focus on China and Japan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임신 전 건강관리 |
dc.subject.keyword | Preconception Care |
dc.description.eprintVersion | published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Nagyeo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ung, Yo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Jaeun |
dc.identifier.doi | 10.23063/2024.09.8 |
dc.citation.title | 국제사회보장리뷰 |
dc.citation.title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
dc.citation.volume | 2024 |
dc.citation.volume | 30 |
dc.citation.number | 가을 |
dc.citation.date | 2024-09-30 |
dc.citation.startPage | 102 |
dc.citation.endPage | 114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국제사회보장리뷰 2024년 가을 30호, pp.102-114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2024 No.가을 30, pp.102-114 |
dc.date.dateaccepted | 2024-09-25T23:57:26Z |
dc.date.datesubmitted | 2024-09-25T23:57:26Z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서비스 |
dc.subject.kihasa | 저출산대응 |
dc.description.section | 이슈분석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