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현주 |
dc.contributor.author | 강희정 |
dc.contributor.author | 안수란 |
dc.contributor.author | 오욱찬 |
dc.contributor.author | 이상정 |
dc.contributor.author | 이원진 |
dc.contributor.author | 이혜정 |
dc.contributor.author | 이병재 |
dc.contributor.author | 한겨레 |
dc.contributor.author | 박성호 |
dc.contributor.author | 성재민 |
dc.contributor.author | 이길제 |
dc.contributor.author | 이재원 |
dc.coverage.temporal | 2023-02-14 - 2024-04-30 |
dc.date.accessioned | 2024-09-12T23:19:10Z |
dc.date.available | 2024-09-12T23:19:10Z |
dc.date.issued | 2024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844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요 약 1 제1부 연구의 개요와 사회보장행정데이터의 소개 제1장 서론: 연구의 개요 49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51 제2절 연구의 목적과 기대효과 55 제3절 연구 내용과 연구방법 56 제2장 사회보장행정데이터의 구축과 특성 61 제1절 사회보장행정데이터 구축 과정 63 제2절 표본설계와 가중치 부여 64 제3절 자료의 구성과 특성 72 제4절 표본의 특성 78 제2부 기초분석1: 인구집단별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제3장 근로연령층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87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89 제2절 소득 분포와 공적 이전 89 제3절 경제활동과 관련된 사회보장제도 수급 및 빈곤, 분배에 대한 함의 93 제4절 불평등 개선 효과와 근로장려금, 국민취업지원제도, 두루누리 지원의 교차 126 제5절 소결 136 제4장 노인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139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141 제2절 노인 소득보장 기초 분석 144 제3절 노인 소득보장 심화 분석 154 제4절 노인 서비스보장 기초분석 163 제5절 노인 서비스보장 심화분석 177 제6절 소결 193 제5장 아동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199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201 제2절 아동 규모와 특성 202 제3절 아동가구 소득보장 현황 206 제4절 아동가구 서비스보장 현황 215 제5절 심화분석 216 제6절 소결 220 제6장 장애인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225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227 제2절 기초분석 228 제3절 심화분석 254 제4절 소결 261 제3부 기초분석2: 정책영역별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제7장 건강 영역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269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271 제2절 건강보장 수급 효과 275 제3절 심화 분석 286 제4절 소결 291 제8장 주거 영역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295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297 제2절 사회보장 행정데이터에 기반한 주거보장 현황 303 제9장 교육 영역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341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343 제2절 기초분석1 : 초·중·고 교육비 지원 유형별 수급 현황 349 제3절 기초분석2 : 대학생 사회보장(장학금, 학자금) 유형별 수급 현황 354 제4절 소결 368 제10장 사회서비스 영역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375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377 제2절 기초분석 1: 사회서비스 바우처 수급 실태 379 제3절 기초분석 2: 사회서비스 바우처의 가계 지출 부담 경감 393 제4절 소결 397 제4부 종합분석과 정책과제 제11장 종합분석 401 제1절 제도형태별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403 제2절 급여형태별 사회보장 수급과 효과 408 제3절 사회보장제도의 소득재분배 효과 411 제12장 사회보장 행정데이터 구축과 활용을 위한 정책과제 415 제1절 사회보장행정데이터 구축 관련 과제 417 제2절 사회보장행정데이터 활용 관련 과제 421 참고문헌 427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446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보건복지부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title | 2023년 사회보장 행정데이터 구축 및 기초분석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사회보장행정데이터 |
dc.subject.keyword | 사회보장제도 |
dc.subject.keyword | 기초분석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Hyon Joo |
dc.type.other | 용역보고서 |
dc.identifier.url | https://www.prism.go.kr/homepage/asmt/popup/1351000-202300013 |
dc.identifier.localId | 용역보고서 2024-014 |
dc.identifier.localId | Commissioned Reports 2024-014 |
dc.citation.date | 2024 |
dc.citation.date | 2024 |
dc.citation.date | 2024 |
dc.date.dateaccepted | 2024-09-12T23:19:10Z |
dc.date.datesubmitted | 2024-09-12T23:19:10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수탁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300087_1_1 |
dc.type.project | 수탁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수탁23-011-00]2023년 사회보장 행정데이터 구축 및 기초분석 |
dc.subject.kihasa | 사회보장 계획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