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저출산 대응을 위한 복지재정의 과제 연구 = A Study on Welfare Finance Issues to Respond to the Declining Birthrat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영숙
dc.contributor.author김지민
dc.contributor.author국중호
dc.contributor.author전승훈
dc.contributor.author김은경
dc.contributor.author고숙자
dc.coverage.temporal2023-01-01 - 2023-12-31
dc.date.accessioned2024-08-20T06:54:24Z
dc.date.available2024-08-20T06:54:24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isbn979117252015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705
dc.description.abstract2023~2032년의 10년은 주 출산 연령대(31~35세)의 여성인구 수가 증가하는 마지막 시기로 집중적인 정책 대응이 요구된다.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23년도 시행계획’과 OECD 가족통계 분석 결과, 출산·육아휴직 보장, 영유아기 중심에서 아동 전 연령대로의 정책 확장, 청년정책과 저출생 대응 정책의 효과적 연계, 지자체의 역할 강화, 저소득·다자녀·다문화 가구 지원 강화 등이 요구된다. 집중적인 재정 대응을 위해 향후 10년간 한시적으로 일본과 프랑스서와 같은 목적 재원을 갖는 ‘(가칭)출산·육아기금, ‘미래세대기금’ 운용을 검토할 수 있다. 재원 확보를 위해 현행 조세체계와 사회보험, 중앙정부-지자체- 교육청으로 구분되는 재정체계와 재원배분 구조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abstractThe decade from 2023 to 2032 will be the last period in which the number of females in the prime childbearing age group (31-35 years old) will increase, requiring concentrated policy responses. According to ‘The 4th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2023 Implement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OECD’s Social Expenditure on Family, it is required to guarantee maternity and childcare leave, expand policies from infants and toddlers to all age groups of children, effectively link youth policies with low birth rate response policies, strengthen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and strengthen support for low-income, multi-child, and multicultural households. For this purpose, we can consider operating a ‘(tentative name) Birth and Childcare Fund or a ‘Future Generation Fund’ for the next 10 years temporarily like the cases of Japan and France.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requires review of the current tax system, social insurance, financial system divided into central government-local government-education office, and financial resource distribution struc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저출생 및 정책 현황 13 제1절 저출생 현황 15 제2절 저출생 대응 정책 현황 34 제3장 저출생 대응 정책 연구 65 제1절 저출생 대응 정책 여건 진단 67 제2절 일본의 대응 사례 77 제3절 프랑스의 대응 사례 100 제4절 조세 지원 125 제4장 저출생 재정 대응 방안 163 제1절 정책 및 재정 대응 방향 165 제2절 저출생 대응 재정 방안 171 제5장 종합 및 정책 시사점 183 제1절 연구결과 종합 185 제2절 정책 시사점 189 참고문헌 193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0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저출산 대응을 위한 복지재정의 과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Welfare Finance Issues to Respond to the Declining Birthrat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합계출산율
dc.subject.keyword저출생 대응 예산
dc.subject.keyword출산·육아휴직
dc.subject.keyword기금
dc.subject.keyword재원배분
dc.subject.keywordtotal fertility rate
dc.subject.keywordbudget for responding to low birth rate
dc.subject.keywordmaternity and childcare leave
dc.subject.keywordfund
dc.subject.keywordresource alloc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Young Suk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m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ok, Joongh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eon, Seungho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Eun-ky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Sukja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3.58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3-58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3-58
dc.citation.date2023
dc.citation.date2023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8-20T06:54:24Z
dc.date.datesubmitted2024-08-20T06:54:24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I
dc.subject.nkisMiddleI4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033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3-001-10]저출산 대응을 위한 복지재정의 과제
dc.subject.kihasa인구변화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