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 모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The Impa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Empathy in Early Adolescenc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and Self-Esteem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상미
dc.date.accessioned2024-07-12T06:29:10Z
dc.date.available2024-07-12T06:29:10Z
dc.date.issued2024-06-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51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공감에 미치는 스마트폰 과의존, 모애착 및 자아존중감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제14차(2021년)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 조사의 중학교 1학년 대상 1,303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는 JAMOVI 2.3을 활용하여 최대우도법 기반의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스마트폰 과의존은 공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모애착 및 자아존중감은 공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애착과 자아존중감은 각각 유의한 부적 매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마트폰 과의존은 모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이중 매개를 통해 공감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은 초기 청소년의 공감 능력에 직접 영향을 미쳤을 뿐 아니라, 모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통해 간접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초기 청소년의 공감 능력의 향상을 위해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을 위한 체계적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며, 모애착 및 자아존중감의 향상 전략이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공감에 모애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의 공감 향상 전략으로서 모애착이 특히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maternal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adolescents’ empathy. Data were collected from 1,303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s part of the 14th (2021)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using JAMOVI 2.3.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artphone overdepend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mpathy, whereas maternal attachment an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athy. Second, both maternal attachment and self-esteem significantly mediated the negative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empathy. Third, smartphone overdependence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mpathy through the sequential dual mediation of maternal attachment and self-esteem.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 모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dc.title.alternativeThe Impa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Empathy in Early Adolescenc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Attachment and Self-Esteem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청소년
dc.subject.keyword공감
dc.subject.keyword스마트폰 과의존
dc.subject.keyword모애착
dc.subject.keyword자아존중감
dc.subject.keywordAdolescent
dc.subject.keywordEmpathy
dc.subject.keywordSmartphone Overdependence
dc.subject.keywordMaternal Attachment
dc.subject.keywordSelf-Esteem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Sangmi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4.44.2.218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4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24-06-30
dc.citation.startPage218
dc.citation.endPage23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4권 제2호, pp.218-23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4 No.2, pp.218-238
dc.date.dateaccepted2024-07-12T06:29:10Z
dc.date.datesubmitted2024-07-12T06:29:10Z
dc.subject.kihasa아동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