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미국과 일본의 재난 피해자 건강 모니터링 체계 구축 사례와 시사점 = Health Monitoring Systems for Disaster Victims in the US and Japan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나경
dc.contributor.author김동진
dc.date.accessioned2024-06-26T23:52:23Z
dc.date.available2024-06-26T23:52:23Z
dc.date.issued2024-06-30
dc.identifier.issn2586-084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387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3/2024.06.7
dc.description.abstract재난 피해자에 대한 건강 모니터링 체계가 구축되면 재난의 장단기적인 건강 영향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구집단별 재난 피해 양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재난 피해자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 글에서는 대규모 재난 발생 이후 국가 단위에서 피해자 레지스트리나 지역 주민 코호트를 구축하여 재난으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 영향을 확인하고 있는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소개한다. 미국과 일본은 재난 피해자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피해자에게 필요한 지원과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이를 정책 입안자, 연구자, 대중과 공유하여 정책적·학술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dc.description.abstractA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disaster victims, currently lacking in Korea, would enable the identification of the long- and short-term health impacts of disasters, as well as the extent and patterns of these impacts on different population groups. This article examines cases from the US and Japan where national-level efforts, utilizing registries of victims or community resident cohorts, have been made to identify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impacts of disasters. Both the US and Japan have implemented support and policy measures based on findings from their monitoring of disaster victims. The fact that these findings are shared with policymakers, researchers, and the general public, for both academic and policymaking purposes,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Korea.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1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미국과 일본의 재난 피해자 건강 모니터링 체계 구축 사례와 시사점
dc.title.alternativeHealth Monitoring Systems for Disaster Victims in the US and Japan and Their Policy Implication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재난
dc.subject.keyword재난피해자
dc.subject.keyword건강
dc.subject.keyword모니터링
dc.subject.keywordDisaster
dc.subject.keywordDisaster Victims
dc.subject.keywordHealth
dc.subject.keywordMonitoring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Nagye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Dongjin
dc.identifier.doi10.23063/2024.06.7
dc.citation.title국제사회보장리뷰
dc.citation.title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dc.citation.volume2024
dc.citation.volume29
dc.citation.number여름
dc.citation.date2024-06-30
dc.citation.startPage81
dc.citation.endPage9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국제사회보장리뷰 2024년 여름 29호, pp.81-9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Global Social Security Review 2024 No.여름 29, pp.81-96
dc.date.dateaccepted2024-06-26T23:52:23Z
dc.date.datesubmitted2024-06-26T23:52:23Z
dc.subject.kihasa미래질병위험
dc.description.section이슈분석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