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 성비

제목
한국의 출생성비 불균형과 결혼 성비
저자

조성호

발행연도
2024-06-17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복지 Issue & Focus 449호, pp.1-8
초록
- 한국의 출생성비는 1970년대부터 조금씩 자연성비를 넘어서기 시작하여 1980년 초반부터 2006년 정도까지 약 30년 동안 자연성비보다 높은 수준이 유지되었음. 이는 출생성비 불균형 상황에서 태어난 이들이 재생산 연령대에 이르렀을 때, 결혼성비의 불균형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는 문제의식에 따라 이 연구를 수행함.
- 분석을 위해 현재 미혼 인구의 성비, 미혼 인구의 가상 매칭 지표, Schoen(1983)의 S 지표를 산출함.
- 분석 결과, 1990년 초반에는 결혼성비 불균형이 존재하지 않았으나 2000년대 중반 이후 결혼성비가 악화되기 시작하여 2021년에는 전국적으로 미혼 남성이 미혼 여성보다 19.6% 많은 것으로 나타남. 특히 지방의 상황은 이보다 훨씬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남.
URI
https://doi.org/10.23064/2024.06.449
ISSN
2092-7177
DOI
10.23064/2024.06.449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