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주요 소득보장제도의 사회보장 기준선 연구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원진
dc.contributor.author고혜진
dc.contributor.author한겨레
dc.coverage.temporal2023-07-10 - 2023-12-06
dc.date.accessioned2024-05-22T04:44:36Z
dc.date.available2024-05-22T04:44:36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205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요 약 1 제1장 서론 33 제1절 연구 목적 35 제2절 연구 방법 39 제2장 주요 소득보장제도 기준선 관련 쟁점 43 제1절 주요 소득보장제도 기준선 현황 45 제2절 기준중위소득 활용 기준선의 쟁점 52 제3절 기준중위소득 미활용 기준선의 쟁점 63 제4절 소결 77 제3장 소득보장 기준선 국제비교 81 제1절 분석 개요 83 제2절 공적 소득보장 급여 수준 비교 94 제3절 소결 117 제4장 주요 소득보장제도 빈곤 감소 효과: 사회보장행정데이터 분석 119 제1절 분석 개요 121 제2절 전체 공적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 분석 124 제3절 공적이전 항목별 빈곤 감소 효과 분석 132 제4절 소결 147 제5장 주요 소득보장제도 빈곤 감소 효과: 가계금융복지조사 분석 149 제1절 분석 개요 151 제2절 2016~2021년 전체 공적이전의 빈곤 감소 효과 분석 155 제3절 2016~2021년 공적이전 항목별 빈곤 감소 효과 분석 167 제4절 2018~2021년 소득 및 지출 횡단 분석 182 제5절 소결 188 제6장 결론 191 참고문헌 199 부록 2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219
dc.languagekor
dc.publisher보건복지부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주요 소득보장제도의 사회보장 기준선 연구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보장 기준선
dc.subject.keyword급여기준선
dc.subject.keyword선정기준선
dc.subject.keyword빈곤 감소 효과
dc.subject.keyword빈곤 감소 효율성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Wonjin
dc.type.other용역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용역보고서 2023-094
dc.identifier.localIdCommissioned Reports 2023-094
dc.citation.date2023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5-22T04:44:36Z
dc.date.datesubmitted2024-05-22T04:44:36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수탁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192_1_1
dc.type.project수탁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수탁23-096-00]주요 소득보장제도의 사회보장 기준선 연구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