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정책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중기 정책연구과제 도출 연구 = Setting Medium-Term Research Tasks to Respond to the Changing Policy Environment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태완
dc.contributor.author최준영
dc.contributor.author정희선
dc.contributor.author정홍원
dc.contributor.author김성아
dc.contributor.author김기태
dc.contributor.author오미애
dc.contributor.author전진아
dc.contributor.author최선영
dc.coverage.temporal2023-09-01 - 2024-02-29
dc.date.accessioned2024-05-21T23:39:08Z
dc.date.available2024-05-21T23:39:08Z
dc.date.issued2024
dc.identifier.isbn979117252017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20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국사회와 사회정책이 직면하고 있거나 직면하게 될 정책환경의 변화를 분석과 둘째, 향후 사회정책이 추진해야 할 방향과 과제를 제시함에 있다. 본 연구의 일환으로 향후 정책 방향과 환경을 예측하기 위해 전문가 패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지난 3년간 실시한 연구를 키워드 분석한 결과하였다. 결론적으로, 연구방향과 과제설정에서 파악된 주요 키워드는 '지속가능성'과 '다양성'이었다. 사회정책과 한국 복지국가의 방향을 진단하고 설정하기 위해서는 출연연구기관이 역동적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공동 연구과제를 추진하도록 장려해야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has two purposes. First, we analyze changes in the policy environment that Korean society and social policies face or will face. Second, we propose directions and tasks that should be promoted for future social policy. As part of this study, an expert panel survey was conducted to predict future policy direction and environment, and our keyword analysis of research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over the past three years. The main keywords identified for research direction and task setting were ‘sustainability’ and ‘diversity’. In order to diagnose and set the direction of social policy and the Korean welfare stat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s should be encouraged to engage in collaborative research tasks that can respond to dynamic chang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5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6 제3절 기대효과 및 연구 한계 19 제2장 사회정책 환경 변화 21 제1절 대내외적 환경 및 사회정책 변화 23 제2절 빅데이터 분석 56 제3장 미래 정책 방향에 대한 전문가 인식 75 제1절 (외부)전문가 패널 조사 77 제2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전문가 조사 94 제4장 사회정책 분야별 대응 연구과제 105 제1절 보건 및 사회정책 연구 동향 분석 107 제2절 사회정책 중장기 설정 방향에 대한 검토 125 제5장 결론 및 제언 131 제1절 중장기 사회정책 변화 방향 133 제2절 중기 정책 연구과제 방향 136 참고문헌 149 부록 155 [부록 1] (외부)전문가 패널 조사표 155 [부록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소속 전문가 조사표 161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정책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중기 정책연구과제 도출 연구
dc.title.alternativeSetting Medium-Term Research Tasks to Respond to the Changing Policy Environment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정책환경
dc.subject.keyword정책과제
dc.subject.keyword미래 대응
dc.subject.keywordPolicy environment
dc.subject.keywordpolicy tasks
dc.subject.keywordfuture respons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Taew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Jun-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Hee-S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ng, Hongw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eong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i-t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Mi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 Jin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Sunyou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b.2024.01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수시) 2024-0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Occasional) 2024-01
dc.citation.date2024
dc.citation.date2024
dc.date.dateaccepted2024-05-21T23:39:08Z
dc.date.datesubmitted2024-05-21T23:39:08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수시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188_1_1
dc.type.project수시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수시23-001-08]정책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중기 정책연구과제 도출 연구
dc.subject.kihasa복지국가
dc.subject.kihasa사회보장 통계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안전망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dc.subject.kihasa사회서비스 일반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통계
보건의료 > 보건의료 안전망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사회서비스 > 사회서비스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