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bstract
주요연구내용 - 2007년 OECD 요구 보건통계항목은 2006년도와 어떤 변화가 있는지, 각 항목의 통계작성 기준은 어떠한지 등을 살펴보고 가능한 OECD 요구 기준에 따른 통계 생산방안을 모색함. - 2006년도에 우리나라에서 OECD에 제출하여 ‘OECD Health Data 2006’에 수록된 보건통계자료 중 기제공통계의 생산방법의 적절성, 제공통계의 정확성, 추가적인 자료제공 가능성 등을 2007년 OECD 요구 산출기준 및 2006년 회원국의 산출방법 및 자료 등을 통하여 검토하고, 이에 따른 관련자료의 정리 및 통계를 생산함. - 2007년에 신규로 추가된 통계항목에 대해서는 OECD에서 제시한 생산방법 및 기준 등을 살펴보고 생산 가능 통계에 대해서는 추가로 생산 제공함. - OECD 회원국의 생산수준을 비교하고 선진 회원국의 통계생산에 있어 자료원 및 생산방법은 우리나라와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OECD에서 제공하는 Data 및 자료원, 생산방법을 통하여 회원국의 부문별 생산수준 그리고 생산방법 및 이용 자료 등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와의 차이와 우리나라 통계생산에 적용 가능성을 살펴봄 - OECD에서 요구하는 보건통계 중 미생산통계에 대해서는 향후 생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통계생산을 위한 관련 자료 및 방법 등을 파악하여 제시함. - 기존 통계개선에 관한 연구결과 등을 고찰하고, 각종 통계의 검토 및 생산방안 마련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관련부문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연구에 반영함. ▣ 보고서의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