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구이동의 변동 양상과 정책적 함의 = Current Internal Migration Trend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Demographic Strategies in Korea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이상림 |
dc.contributor.author | 최인선 |
dc.coverage.temporal | 2023-01-01 - 2023-12-31 |
dc.date.accessioned | 2024-04-23T04:11:10Z |
dc.date.available | 2024-04-23T04:11:10Z |
dc.date.issued | 2023 |
dc.identifier.isbn | 978896827957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5049 |
dc.description.abstract | 국내 인구이동 현상을 인구학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그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인구이동(migration), 인구이동자(migrants), 그리고 지역(origin & destination)이라는 각각의 접근을 통해 인구이동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구성함. 국내 인구이동의 전반적인 특성은 7가지 주제로 나누어 분석함. 전체 인구이동량의 감소, 지역들의 실제 인구변화 정도, 인구위기 지역별 인구이동 특성, 단계별 연쇄이동 가설 확인, 지방 청년 유출에서의 젠더적 양상, 인구위기 지역의 인구이동 양상의 진전, 인구위기 지역 유출입 인구의 특성 분석, 인구위기 지역의 인구이동이 지역에 미치는 총체적 위험성등이 주요 연구결과임. 이를 통해. 지역 인구위기에 대한 대응은 인구이동과 지역 간 관계 구조에 대한 총체적 이해 속에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함. |
dc.description.abstract | In order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phenomenon of internal migration from a demographic perspective and identify its trends, this study construct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ternal migration through the respective approaches of migration flows, migrants, and regions (origin & destinati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internal migration are analyzed under seven themes. The main findings include the decline in total migration, the actual extent of population change in regions, the characteristics of migration in population crisis regions, confirmation of the cascading migration hypothesis, the gender dimension of rural youth outflows, the evolution of migration in population crisis region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igrants moving in and out of population crisis regions, and the aggregate socio-economic impacts of migration on population crisis regions. These findings emphasize that responses to regional population crises have to be based 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opulation movements and the structure of inter-regional relation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방법과 내용 11 제3절 인구이동에 대한 일반적 설명 13 제2장 인구이동의 변화와 지역 25 제1절 전국 이동성의 특성과 변화 27 제2절 인구이동에 따른 지역인구의 변화 34 제3절 수도권의 인구이동 49 제4절 지방의 인구이동 53 제5절 연쇄이동의 검증 56 제3장 인구이동의 선택성과 지역에 미치는 영향 61 제1절 인구이동의 성별 차이 63 제2절 인구위기 지역의 인구이동 75 제3절 인구위기 지역 인구이동의 파급효과 87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93 제1절 주요 발견 및 시사점 95 제2절 정책적 함의 99 참고문헌 101 부록 105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extent | 120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국내 인구이동의 변동 양상과 정책적 함의 |
dc.title.alternative | Current Internal Migration Trends and Policy Recommendations for Demographic Strategies in Korea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인구이동 |
dc.subject.keyword | 청년 수도권 이동 |
dc.subject.keyword | 인구이동의 성별 차이 |
dc.subject.keyword | 인구이동의 파급효과 |
dc.subject.keyword | Internal migration |
dc.subject.keyword | Migration selectivity |
dc.subject.keyword | Population disparity |
dc.subject.keyword | Demographic strategy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Sang-lim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Insun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3.50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3-50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3-50 |
dc.citation.date | 2023 |
dc.citation.date | 2023 |
dc.date.dateaccepted | 2024-04-23T04:11:10Z |
dc.date.datesubmitted | 2024-04-23T04:11:10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일반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I |
dc.subject.nkisMiddle | I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300024_1_1 |
dc.type.project | 일반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일반23-001-02]국내 인구이동의 변동 양상과 정책적 함의 |
dc.subject.kihasa | 인구변화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