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중년층 노동 생애 불안정성 측정과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Working-Life Instability among Middle-aged People and Support Policies

제목
중년층 노동 생애 불안정성 측정과 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Working-Life Instability among Middle-aged People and Support Policies
저자

이아영(Lee, Ayoung) ; 박소은(Park, Soeun) ; 황남희(Hwang, Namhui) ; 한수진 ; 배호중

저자(타언어)
Lee, Ayoung ; Park, Soeun ; Hwang, Namhui ; Han, Sujin ; Bae, Hojoong
키워드
노동 생애 불안정 ; 중년 근로자 ; 노동궤적 ; 소득 손실
발행연도
2023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인구 고령화와 재정적 압박으로 늦은 퇴직을 장려하기 위해 연금정책과 기타 사회 프로그램을 개혁했고, 현재도 개혁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개혁 중 상당수는 조기 퇴직에 대한 페널티를 강화하는 것임을 고려하면, 중년층의 비자발적 실질과 노동 불안정성 양상을 진단하고, 이로 인해 야기되는 노동 궤적 및 소득에 미치는 효과들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분석결과, 이른 나이의 비자발적 퇴직과 노동 생애에 걸친 불안정을 경험하는 중년층의 비율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직업 상실 및 노동 불안정은 이후 이들의 노동궤적뿐 아니라 소득에도 지속적인 부정적 효과를 야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년층의 비자발적 실직 경험, 이로 인해 유발되는 노동 생애 불안정을 경험한 근로자를 노동시장으로 재통합하는 것은 노동시장뿐 아니라 사회정책의 주요 과제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이론적 배경 19
제1절 중년층의 개념 및 범주 21
제2절 중년층의 노동 생애 불안정과 소득 불안정 24

제3장 중년층의 경제활동 및 경제상태 실태 37
제1절 분석 개요 39
제2절 중년층의 경제활동 실태 43
제3절 중년층의 경제상태 실태 49
제4절 소결 66

제4장 중년층의 노동 생애 불안정성 측정 69
제1절 분석 개요 71
제2절 분석 결과 79
제3절 소결 106

제5장 중년층 노동 불안정(직업 상실)이 노동궤적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 109
제1절 분석 개요 111
제2절 분석 결과 117
제3절 소결 130

제6장 중년층 지원 정책 현황 및 한계점 133
제1절 분석 개요 135
제2절 중년층 지원 정책 현황 137
제3절 중년층 지원 정책의 한계점 및 개선방안 152

제7장 결론 163
제1절 분석 결과 요약 165
제2절 정책 시사점 요약 170

참고문헌 177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3-17
ISBN
9788968279720
DOI
10.23060/kihasa.a.2023.17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