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사회보장 개편 기초연구 = Basic research on social security reform to eliminate welfare no-care zone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태완
dc.contributor.author한수진
dc.coverage.temporal2023-07-01 - 2023-12-31
dc.date.accessioned2024-03-29T04:09:28Z
dc.date.available2024-03-29T04:09:28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isbn9788968279553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913
dc.description.abstract소득보장제도는 2000년대 이후 다양한 사회안전망제도를 갖추어 왔다. 하지만 각각의 제도가 가지고 있는 한계로 여전히 근로빈곤층 대상으로는 광범위한 사각지대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신사회적 위험이 다양하게 나타나면서 새로운 취약계층이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소득보장제도를 평가하고 제도 간 정합성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소득보장과 고용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근로빈곤층이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긴급복지지원제도를 개편하여야 하며, 단기적으로는 긴급복지지원제도와 국민취업지원제도 간 연계를 통해 위기 개인 및 가구에 대해 생계지원, 취·창업지원 교육, 훈련, 직업알선 등이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근로장려금 역시 동 제도와 함께 통합되어 운영되는 것이 검토되어야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income security system has had various social safety net systems since the 2000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each system, there are still wide no-care zone for the working poor. Therefore, evaluating the no-care zone and policies of the income security system for the working poor and identify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systems is an important issue. The following is what this study is trying to say. The Emergency Welfare Support System needs to be dramatically reformed in order for the working poor, who are in the no-care zone, to maintain a stable livelihood. In the short term,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Emergency Welfare Support System and the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livelihood support is provided, employment education, training, and job placement to households in crisis. In the long term, the earned income tax credit(EITC) system must also be integrated and operated along with the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3절 기대효과 및 연구한계 17 제2장 소득보장제도 사각지대 및 새로운 취약계층 현황 19 제1절 근로빈곤층 관련 선행연구 21 제2절 근로빈곤층 실태 28 제3절 소득 및 고용안전망 사각지대 현황 36 제4절 새로운 취약계층 현황 48 제3장 (근로)빈곤층 대상 소득보장제도 현황 및 평가 69 제1절 빈곤층 지원제도 71 제2절 근로빈곤층 대상 지원제도 91 제3절 근로빈곤 및 근로연령층 대상 새로운 변화 160 제4장 결론 및 정책제언 169 제1절 주요 연구결과 정리 171 제2절 근로연령층 대상 소득보장 개편방향 176 참고문헌 195 부 록 209 [부록1] 금융취약계층: 일본 대응사례 209 [부록2] 일본의 비정규직근로자 및 빈곤의 현황과 대책: 최근의 사회보장제도 및 노동시장 개혁 중심으로 221 [부록3] 노인빈곤 문제 대응 253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7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사회보장 개편 기초연구
dc.title.alternativeBasic research on social security reform to eliminate welfare no-care zone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소득보장
dc.subject.keyword사각지대
dc.subject.keyword근로빈곤
dc.subject.keyword고용안전망
dc.subject.keywordincome security no-care zone
dc.subject.keywordworking poor
dc.subject.keywordemployment safety net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Taew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Sujin
dc.type.other수시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b.2023.06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수시) 2023-0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수시) 2023-06
dc.citation.date2023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3-29T04:09:28Z
dc.date.datesubmitted2024-03-29T04:09:28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수시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184_1_1
dc.type.project수시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수시23-001-04]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개편 기초연구
dc.subject.kihasa복지국가
dc.subject.kihasa사회보장 계획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계획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