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한국인의 사회적 불안 분석종합과 정책적 함의 = Perceived Social Insecurity and Its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현주
dc.contributor.author곽윤경
dc.contributor.author이아영
dc.contributor.author구혜란
dc.contributor.author변금선
dc.contributor.author전지현
dc.coverage.temporal2023-01-01 - 2023-12-31
dc.date.accessioned2024-03-28T00:50:37Z
dc.date.available2024-03-28T00:50:37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isbn978896827994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90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불안 인식 수준과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 사회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23년 시행된 이 연구는 2019년부터 5년간 진행된 한국의 사회적 불안 인식에 대한 연구 중 5차년의 연구로,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적 불안 인식과 관련 요인을 조사한 “한국인의 사회적 문제 경험과 인식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 불안 인식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한 정책적 대응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사회적 불안 인식의 개념과 측정, 그리고 관련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소개하고 분석 자료를 소개하는 도입부, 사회적 불안 인식의 양상과 사회적 불안 인식의 요인을 규명하는 본론,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을 정리하고 사회적 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제안을 하는 결론으로 구성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levels, and related factors of perceived social insecurity. A significant proportion of respondents in the survey reported high levels of perceived social insecurity. Major factors influencing social insecurity perception are sex, income, asset, experience of socio-economic insecurity, social support. This study proposed five major policy task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연구의 배경과 연구 개요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14 제3절 연구의 방법 18 제2장 선행연구의 검토와 분석 자료 21 제1절 선행연구의 검토와 시사점 23 제2절 1·2·3·4차 연도 연구 개요와 시사점 38 제3절 분석 자료의 구축과 검증 49 제3장 사회적 불안 인식에 대한 기초분석 결과 61 제1절 사회적 불안 인식의 수준과 내용 63 제2절 집단별 사회적 불안 인식의 비교 72 제4장 사회적 불안 인식의 구조: 코호트 간 비교 89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91 제2절 사회적 불안 인식의 구조 107 제3절 사회적 불안 인식 설명 요인 네트워크 분석 115 제4절 소결 122 제5장 개인의 심리 불안과 사회적 불안 인식 125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127 제2절 개인 불안심리 유형 특성 137 제3절 개인 불안심리의 예측요인: 사회적 인식 및 경험을 중심으로 153 제4절 소결 166 제6장 소득계층과 사회적 불안 인식: 사‧공적 지원의 영향 169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171 제2절 소득계층별 박탈 경험과 지지체계 180 제3절 지지체계와 사회적 불안 격차 195 제4절 소결 215 제7장 사회적 고립과 사회적 불안 인식 219 제1절 분석 내용과 분석 방법 221 제2절 사회적 고립의 유형과 사회적 불안 238 제3절 사회적 고립의 사회적 불안에 대한 영향 240 제4절 소결 244 제8장 대처성향과 사회적 불안 인식: 사회참여‧활동을 초점으로 247 제1절 분석 내용과 방법 249 제2절 사회적 불안 대처성향 254 제3절 사회참여 특성과 불안 265 제4절 사회적 불안에 대한 영향 분석 271 제5절 소결 286 제9장 결론 291 제1절 주요 분석 결과의 요약 293 제2절 정책과제 300 제3절 기대효과와 한계 312 참고문헌 315 부록 3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34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 한국인의 사회적 불안 분석종합과 정책적 함의
dc.title.alternativePerceived Social Insecurity and Its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ie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적 불안 인식
dc.subject.keyword불안
dc.subject.keyword사회정책
dc.subject.keyword불평등
dc.subject.keyword불공정
dc.subject.keywordsubjective social insecurity
dc.subject.keywordsocial insecurity perception
dc.subject.keywordanxiety
dc.subject.keywordsocial policy
dc.subject.keywordinequality
dc.subject.keywordinjustic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yonjo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wak, YoonKy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A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o, Heara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yun, Geums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 Jihyun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3.40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3-40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3-40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3-28T00:50:37Z
dc.date.datesubmitted2024-03-28T00:50:37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048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3-003-00]한국의 사회적 불안과 사회보장의 과제: 한국인의 사회적 불안 분석종합과 정책적 함의
dc.subject.kihasa사회통합
dc.subject.kihasa사회보장 계획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계획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