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저소득 치매노인의 AIP 실현을 위한 주거지원 연구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ousing Support for the Aging-In-Place for Low-Incom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ith a Focus on Public Rental Housing

제목
저소득 치매노인의 AIP 실현을 위한 주거지원 연구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ousing Support for the Aging-In-Place for Low-Incom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With a Focus on Public Rental Housing
저자

임덕영(Lim, DeokYoung) ; 이태진(Lee, Taejin) ; 주보혜(Joo, Bohye) ; 정주성 ; 남궁은하

저자(타언어)
Lim, DeokYoung ; Lee, Taejin ; Joo, Bohye ; Jeong, Jooseong ; Namkung, Eun Ha
키워드
치매노인 ; 공공임대주택 ; 주거지원 ; AIP, 지역사회 계속 거주
발행연도
2023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최근 치매 문제는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바, 고령화 사회가 심화될수록 치매노인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들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사회적 개입을 해야 한다. 정부 차원의 치매 대응은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는 데, 의료적 대응에서 돌봄 및 케어로 정책의 무게 중심이 점차 옮겨져 가고 있다. 치매는 숨겨야 할 개인 문제에서, 의료적 대응이 필요한 질병의 문제로 전환된 데에 이어, 사회적 돌봄의 문제로, 더 나아가 공동체가 함께 해야 할 공동체적 문제로 그 대응 성격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에는 지역사회에서 살기 어렵다고 여겨져 병원이나 시설로 보내졌던 치매노인도 지역사회에서 주거와 서비스를 지원받으며 늙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의 전환이 요청된다.
본 연구는 사회적 대응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치매노인이 시설이나 병원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계속 거주(AIP)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그간 치매에 대해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주거정책의 관점에서 의료나 돌봄 서비스와의 결합 실태와 개선방안을 살펴보고 더불어 공동체적 대응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연구 대상으로 저소득 치매노인과 공공임대주택에 주목하였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5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배경 및 연구 목적 11
제2절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6
제3절 연구 구성 20

제2장 치매노인과 주거에 관한 예비적 고찰 23
제1절 치매노인의 AIP와 주거보장 25
제2절 치매친화적 주거지원 34
제3절 치매노인의 주거실태 54

제3장 치매노인 관련 정책 고찰 89
제1절 주거지원 관점에서 본 지원정책 91
제2절 치매정책 관점에서 본 주거지원 105
제3절 지역사회 통합돌봄과 치매노인 지원정책 118

제4장 공공임대주택의 치매노인 서비스 실태조사 129
제1절 조사 개요 및 응답 현황 131
제2절 치매노인 및 관련 서비스·주거환경 실태 138
제3절 치매노인에 대한 주민 인식과 제도 개선 150
제4절 소결 159

제5장 공공임대주택 치매 입주가구 및 치매친화 환경 분석 163
제1절 공공임대주택 치매 입주가구 분석 165
제2절 공공임대주택 치매친화 환경 분석 180
제3절 소결 196

제6장 결론 199
제1절 주요 연구 요약 201
제2절 정책 제언 208

참고문헌 227
부록 239
부록 1. 공공임대주택단지(영구임대) 소재 지자체별 서비스 기관 분포 239
부록 2. 영구임대주택단지 치매노인 서비스 실태조사 조사표(관리사무소용) 253
부록 3. 영구임대주택단지 치매노인 서비스 실태조사 조사표(종합사회복지관용) 266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3-24
ISBN
9788968279782
DOI
10.23060/kihasa.a.2023.24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