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건복지 분야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출처 데이터 연계, 통합, 활용 방안 연구(Ⅱ) - 가명정보 결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ow to Link, Intergrate, Utilize Multi-Source Data to Vitalize the Data Economy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s(Ⅱ): With a Focus on the Linkage of Pseudonymized Dat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혜정
dc.contributor.author이기호
dc.contributor.author김기태
dc.contributor.author안수인
dc.contributor.author박성준
dc.contributor.author이지은
dc.contributor.author김민석
dc.coverage.temporal2023-01-01 - 2023-12-31
dc.date.accessioned2024-03-26T05:13:05Z
dc.date.available2024-03-26T05:13:05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isbn978896827966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885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다양한 주제별로 분산된 데이터 자원을 연계·통합하는 적극적인 시도를 통해 데이터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연구로, 2년 동안 이루어졌다. 올해가 마지막 연도 과제로, 1차 연도(2022년)에는 데이터 연계·통합을 위한 활용 가능한 데이터 현황을 파악하였고, 통계적 매칭 방법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연계·통합하는 실증 연구를 하였다. 2차 연도(2023년)에는 가명정보 결합을 활용한 데이터 연계·통합 실증 연구를 실시하였고, 데이터 연계·통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가명정보 결합과 관련된 제반 사항을 검토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In line with the trends of open data, a growing amount of data is becoming accessible for users. However, such open data is primarily provided in unlinked, separate sets by different sources. In this study, our aim was to examine how data from multiple sources, when linked and integrated, can increase in utility and explore steps needed to be taken to overcome challenges in implementing data integration and link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5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23 제2장 가명정보 결합 개념 및 활용 방법 27 제1절 가명정보 결합의 개념 29 제2절 가명정보 결합 및 반출 절차 34 제3절 소결 75 제3장 가명정보 결합을 활용한 통합데이터 구축 및 연구 사례 79 제1절 국내 사례 81 제2절 해외 사례 94 제3절 소결 122 제4장 가명정보 결합 활성화를 위한 제반 사항 검토 127 제1절 현행 법률 및 가이드라인 검토 130 제2절 데이터 제공 관련 현황 분석 142 제3절 데이터 제공 절차 수립 152 제4절 데이터 제공 절차 개선 방안 171 제5절 소결 178 제5장 가명정보 결합을 활용한 데이터 통합 실증 연구 181 제1절 가명정보 결합을 활용한 통합데이터 구축 183 제2절 통합데이터 실증 분석 191 제3절 소결 239 제6장 결론 243 제1절 연구 결과 요약 및 함의 245 제2절 가명정보 결합 제도 활성화를 위한 방안 258 제3절 향후 과제 263 참고문헌 265 부록 2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30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보건복지 분야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출처 데이터 연계, 통합, 활용 방안 연구(Ⅱ) - 가명정보 결합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How to Link, Intergrate, Utilize Multi-Source Data to Vitalize the Data Economy in the Health and Welfare Sectors(Ⅱ): With a Focus on the Linkage of Pseudonymized Dat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가명정보
dc.subject.keyword가명정보 결합
dc.subject.keyword한국의료패널조사
dc.subject.keyword한국사회보장정보원 행정데이터
dc.subject.keywordKorea Health Panel Survey
dc.subject.keywordSocial Security Administrative Data
dc.subject.keywordpseudonymization
dc.subject.keywordpseudonymized dat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Hyej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Ki-h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ita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An, Su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Seongj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i-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Minseok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3.09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3-09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3-09
dc.citation.date2023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3-26T05:13:05Z
dc.date.datesubmitted2024-03-26T05:13:05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056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3-011-00]보건복지 분야 데이터 경제 활성화를 위한 다출처 데이터 연계, 통합, 활용 방안 연구 - 가명정보 결합을 중심으로
dc.subject.kihasa보건복지 정보화
dc.subject.kihasa사회보장 통계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보건복지 정보화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통계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