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미래 질병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비 =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Korea's Future Disease Threats

Title
한국의 미래 질병 위험에 대한 인식과 대비 =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Korea's Future Disease Threats
Author(s)

채수미(Chae, Sumi) ; 신지영(Shin, Jiyoung) ; 백주하(Baek, Juha) ; 이수빈 ; 김태종

Alternative Author(s)
Chae, Sumi ; Shin, Jiyoung ; Baek, Juha ; Lee, Subin ; Kim, Tae-Jong
Keyword
미래 질병 위험 ; 토픽모델링 ; 호라이즌 스캐닝 ; 합의형성 워크숍 ; 미래 보건 이슈
Publication Year
2023
Publisher
한국보건사회연구원
Abstract
국가별 세부 보건사업은 미래의 건강과 질병에 위협이 되는 요인을 고려하여 구체화될 수 있으며, 미래의 위험 요인은 보건정책의 방향과 전략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 보건정책은 법적 근거를 토대로 여러가지 국가 대책 및 계획이 수립되어 왔으며, 이들 계획은 각각의 계획이 가지는 기본 목적에 충실하기는 하지만 국가의 미래 수요와 사회환경 변화에 대한 검토가 충분하지 않아 미래를 대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미래의 건강과 질병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를 고려하여 정책 방향성을 검토하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으나, 급변하는 환경을 고려하여 미래 이슈를 주기적으로 예측하고 전문가와 사회적 의견을 수렴하여 보건의료정책을 수립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미래의 질병 위험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전문가의 의견을 파악하여 미래의 위험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도출된 위험 요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보건의료정책이 지속가능한 건강 안전망으로 작동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Table Of Contents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제2장 선행 연구 및 정책 고찰 21
제1절 미래 위험 예측에 관한 선행 연구 23
제2절 미래 위험 대비 관련 국외 정책 조사 37

제3장 언론에서 나타난 한국 사회의 미래 질병 위험 이슈 51
제1절 분석 내용 및 방법 53
제2절 분석 결과 63
제3절 요약 및 시사점 99

제4장 보건의료 분야 전문가의 미래 질병 위험 인식 109
제1절 조사 방법 111
제2절 조사 결과 117
제3절 시사점 139

제5장 국민의 미래 질병 위험 인식 149
제1절 조사 방법 151
제2절 조사 결과 157
제3절 시사점 170

제6장 결론 173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175
제2절 미래 질병 위험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과제 182

참고문헌 187
부 록 195
부록 1 국민 인식 조사표 195
Local ID
연구보고서 2023-30
ISBN
9788968279843
DOI
10.23060/kihasa.a.2023.30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Item view & Downlod Count

Loading...

Licens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