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성비 불균형에 따른 혼인 특성과 정책적 함의 = Marriage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Sex Ratio Imbalance at Birth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조성호 |
dc.contributor.author | Suga, Keita |
dc.contributor.author | 문승현 |
dc.contributor.author | 정주성 |
dc.coverage.temporal | 2023-01-01 - 2023-12-31 |
dc.date.accessioned | 2024-03-18T23:31:02Z |
dc.date.available | 2024-03-18T23:31:02Z |
dc.date.issued | 2023 |
dc.identifier.isbn | 9788968279713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824 |
dc.description.abstract | 그동안 미혼화 및 비혼화의 원인을 청년들의 결혼 및 출산 가치관, 사회경제적 및 주거 특성에서 찾아왔지만, 1980년대 초반부터 30여 년간 지속된 출생성비 불균형이 결혼하고 싶어도 결혼하지 못하는 인구구조를 발생시킨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서 이 연구는 기획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출생성비 불균형이 현재 우리나라의 인구구조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인구통계학적 지표를 산출하였고, 앞으로의 추세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또한, 청년들의 정책적 욕구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자세한 내용은 이 보고서를 참조해주시길 부탁드린다. |
dc.description.abstract | Until now, the causes of unmarried population have been found in young people's marriage and childbirth values, socioeconomic and residential characteristics, but the imbalance in birth sex ratio that has continued for 30 years since the early 1980s has created a population structure in which people cannot get married even if they want to. In this study, demographic indicators were calculated to see how the sex ratio imbalance at birth affected Korea's current population structure, and future trends were also analyzed. We also looked at the policy needs of young people. Please refer to this report for further detail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이론적 배경 15 제1절 출생성비 불균형 발생 원인 17 제2절 출생성비 불균형의 인구사회학적 영향 27 제3절 결혼성비 불균형 지표 및 생애 미혼율 장래 추계 33 제4절 출생성비 불균형의 국외 사례 42 제3장 성비 불균형 현황과 진단 61 제1절 성비 불균형 현황 63 제2절 성비 불균형과 혼인 관련 지표 74 제3절 생애 미혼율의 장래 추계 110 제4장 미혼인구의 정책적 욕구 119 제1절 지방 미혼인구의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 122 제2절 지방 미혼인구에 대한 결혼 지원 정책 132 제3절 지방의 인구 유입 정책에 대한 인식 144 제5장 결론 149 참고문헌 161 부 록1 가상 결합 후 미혼자 및 비율 170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184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출생성비 불균형에 따른 혼인 특성과 정책적 함의 |
dc.title.alternative | Marriage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Sex Ratio Imbalance at Birth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출생성비 |
dc.subject.keyword | 결혼 |
dc.subject.keyword | 미혼인구 |
dc.subject.keyword | sex ratio at birth |
dc.subject.keyword | marriage |
dc.subject.keyword | unmarried populatio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 Sungh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uga, Keit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Moon, Seung-Hy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eong, Jooseong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3.16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3-16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3-16 |
dc.citation.date | 2023 |
dc.date.dateaccepted | 2024-03-18T23:31:02Z |
dc.date.datesubmitted | 2024-03-18T23:31:02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일반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I |
dc.subject.nkisMiddle | I4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300026_1_1 |
dc.type.project | 일반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일반23-001-04]출생성비 불균형에 따른 혼인 특성과 정책적 함의 |
dc.subject.kihasa | 인구변화 |
dc.subject.kihasa | 가족변화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