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소아 필수의료대책 구체화를 위한 주요 과제 도출 및 대안 탐색 = Identifying Key Tasks and Exploring Options for Essential Pediatric Medical Initiative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희년
dc.contributor.author이나경
dc.contributor.author강희정
dc.coverage.temporal2023-03-01 - 2023-07-31
dc.date.accessioned2024-03-07T02:00:59Z
dc.date.available2024-03-07T02:00:59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isbn978896827963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765
dc.description.abstract필수의료 제공체계에 대한 국민 관심이 늘고 있다. 그 중 소아의료는 성인의료와 성격이 달라 의료서비스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의료서비스 제공체계의 완결성을 갖추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하지만 저출산 위기,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부족사태 등은 우리나라 소아의료체계를 위협한다. 정부는 소아의료를 살리기 위해 대책을 발표하고 다양한 정책적 대안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학계와 의료계는 정부 정책을 환영하면서도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본 연구는 정부의 소아필수의료대책을 개선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 대안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소아의료체계는 코로나19로 인해 타격을 입었다. 저출산으로 아동 전체 의료서비스 이용량 감소도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소아 의료비 지출 회복세가 확인되지만, 정작 중증소아 환자를 돌보아야 할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에서는 지출 회복이 더디다. 소아 대상 전문의료 제공체계가 약화됨과 동시에 일관된 환자의뢰체계 없이 분절적으로 의료서비스를 공급하는 체계도 문제다. 정부는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소아 필수의료대책을 발표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7가지 한계를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dc.description.abstractPublic interest in the essential medical care system is increasing. Among them, pediatric medical care is different from adult medical care, so it is more important to secure medical expertise and complete the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However, the declining birthrate and shortage of pediatricians are threatening the pediatric medical system. The declining birthrate has led to a decline in overall healthcare utilization among children. While there has been a recovery in pediatric healthcare spending since COVID-19, the recovery has been slower in general hospital-level medical institutions, where critically ill pediatric patients are treated. In addition to the weakening of the pediatric specialty medical care system, there is also a fragmented medical service delivery system without a consistent patient referral system. In an effort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Essential Pediatric Medical Initiative. This study identifies seven limitations of the initiative and suggests alternati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9 제2장 이론적 배경 23 제1절 필수의료의 개념 25 제2절 필수의료대책 수립 경과 36 제3절 의료체계 모형과 소아의료체계 39 제3장 소아의료체계 현황 43 제1절 소아의료체계 자원 현황 45 제2절 소아의료체계 조직화 및 전달체계 현황 48 제3절 소아의료체계 의료이용 및 지출 현황 65 제4장 소아 필수의료대책의 평가 및 구체화 방안 75 제1절 소아 필수의료대책 분석 77 제2절 소아 필수의료대책의 의의 및 한계 87 제3절 소아 필수의료대책 구체화 방안 93 제5장 결론 및 제언 111 제1절 요약 113 제2절 제언 116 참고문헌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10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소아 필수의료대책 구체화를 위한 주요 과제 도출 및 대안 탐색
dc.title.alternativeIdentifying Key Tasks and Exploring Options for Essential Pediatric Medical Initiative in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소아의료체계
dc.subject.keyword소아 필수의료대책
dc.subject.keyword필수의료대책
dc.subject.keyword소아의료개선 대책
dc.subject.keywordpediatric medical system
dc.subject.keywordessential pediatric service initiatives
dc.subject.keywordpolicy measur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eeny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Na-Gye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Hee-Chung
dc.type.otherWorking Paper
dc.identifier.doi10.23060/kihasa.i.2023.02
dc.identifier.localId워킹페이퍼 2023-02
dc.identifier.localIdWorking Papers 2023-02
dc.citation.date2023
dc.date.dateaccepted2024-03-07T02:00:59Z
dc.date.datesubmitted2024-03-07T02:00:59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타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7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300101_1_1
dc.type.project연구지원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지원23-004-02]소아 필수의료대책 구체화를 위한 주요 과제 도출 및 대안 탐색
dc.subject.kihasa아동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