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정신건강연구센터 운영: 기후위기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limate Crisis on Mental Health

제목
사회정신건강연구센터 운영: 기후위기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limate Crisis on Mental Health
저자

채수미(Chae, Sumi) ; 김혜윤(Kim, Hyeyun) ; 이수빈 ; 신지영(Shin, Jiyoung) ; 백주하(Baek, Juha) ; 김태현 ; 전진아(Jun, Jina)

저자(타언어)
Chae, Sumi ; Kim, Hyeyun ; Lee, Subin ; Shin, Jiyoung ; Baek, Juha ; Kim, Tae Hyun ; Jun, Jina
키워드
기후변화 ; 기후위기 ; 정신건강 ; 기후불안
발행연도
2023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기후변화는 우리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기후위기로 여겨지고 있고, 이로 인한 극심한 기상현상과 자연 생태계의 변화는 급·만성질환의 위험 증가, 조기 사망 등 우리의 건강에 다양한 위험을 초래한다. 기후위기는 여러 경로를 통해 정신건강을 위협하고 있음이 밝혀졌고, 최근 국내에서는 기후불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외에서는 정신건강을 기후변화 건강 적응의 한 영역으로 다루기도 하고, 정신건강 정책에서 기후변화 적응이 고려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에서 정신건강 문제가 논의되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정신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 정책이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기후위기와 정신건강에 대한 메커니즘과 연구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 기후불안 실태를 조사하여 기후위기 시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기후위기와 정신건강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 21
제1절 국외 기후위기와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고찰 23
제2절 국내 기후위기와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현황 분석 54

제3장 기후불안 실태 71
제1절 선행연구 고찰 73
제2절 조사 내용 및 방법 96
제3절 기후불안 수준 107
제4절 기후불안 관련 요인 118

제4장 기후위기 정신건강 적응 정책 135
제1절 국내 정책 동향 137
제2절 국외 정책 및 사업 운영 사례 146

제5장 결론 215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및 고찰 217
제2절 기후위기 시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제언 228

참고문헌 233
부 록 277
[부록 1] 기후불안 관련 척도 277
[부록 2] 정신건강 척도 283
[부록 3] 기후불안 조사표 286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23-08
ISBN
9788968279508
DOI
10.23060/kihasa.a.2023.08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