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정책과제 - 건강형평성 관점의 재난통계 개선 방안 = Monitoring the Status of Health Inequality in Korea and Policy Development ? Building Disaster Statistics to Improve Health Equity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동진 |
dc.contributor.author | 이나경 |
dc.contributor.author | 유정훈 |
dc.contributor.author | 강희원 |
dc.contributor.author | 김동하 |
dc.contributor.author | 이윤경 |
dc.contributor.author | 황도경 |
dc.coverage.temporal | 2023-01-01 - 2023-12-31 |
dc.date.accessioned | 2024-02-26T05:03:10Z |
dc.date.available | 2024-02-26T05:03:10Z |
dc.date.issued | 2023 |
dc.identifier.isbn | 9788968279683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711 |
dc.description.abstract | 최근 들어 재난은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매년 발생하는 대형 재난으로 인해 적지 않은 사회적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사회계층이 낮은 사람이 재난에 더 취약하였고, 개인적 취약성을 보완해 주어야 할 정부의 지원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의 영향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재난취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재난과 관련된 기초 통계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재난으로 인한 사회계층별 피해 현황과 그 격차를 파악할 수 있는 재난통계 산출과 모니터링 체계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고도화된 재난안전대책 마련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재난통계 마련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재난통계 대상, 재난통계 목록 그리고 재난통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활용될 수 있는 통계의 대상과 내용, 그리고 그와 같은 통계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 | In recent years, disasters have become increasingly large and have caused significant social damage. In particular, people from lower social classes are more vulnerable to disasters, and government support to compensate for their individual vulnerability is not sufficient. Basic statistics on disasters are essential in order to accurately analyze the impact of recurrent disasters and establish policies to protect vulnerable populations.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disaster statistics calculation and monitoring system that can identify disaster losses and disparities by social class. In order to prepare disaster statistics that can serve as a basis for the preparation of advanced disaster safety measures, this study proposes disaster statistics targets, a list of disaster statistics, and measures to improve disaster statistics. This can be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o and what statistics can be utilized to protect people's health from disasters, and how such statistics can be produced.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extent | 408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정책과제 - 건강형평성 관점의 재난통계 개선 방안 |
dc.title.alternative | Monitoring the Status of Health Inequality in Korea and Policy Development ? Building Disaster Statistics to Improve Health Equity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재난 |
dc.subject.keyword | 재난 취약성 |
dc.subject.keyword | 건강형평성 |
dc.subject.keyword | 재난통계 |
dc.subject.keyword | disaster statistics |
dc.subject.keyword | health equity |
dc.subject.keyword | disaster vulnerable groups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Dongj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Naky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Yoo, Jungh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ang, Heewo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Dong H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YoonKyo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wang, Dokyung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3.13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3-13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3-13 |
dc.citation.date | 2023 |
dc.date.dateaccepted | 2024-02-26T05:03:10Z |
dc.date.datesubmitted | 2024-02-26T05:03:10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일반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3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300052_1_1 |
dc.type.project | 일반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일반23-007-00]국민의 건강수준 제고를 위한 건강형평성 모니터링 및 정책과제 - 건강형평성 관점의 재난통계 개선 방안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안전망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자원 |
dc.subject.kihasa | 건강친화적 환경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