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불평등과 인구 변동 간 연관성에 대한 심층 연구 =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nequality and Demographic Change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장인수 |
dc.contributor.author | 김현중 |
dc.contributor.author | 오신휘 |
dc.coverage.temporal | 2023-01-01 - 2023-12-31 |
dc.date.accessioned | 2024-02-19T00:03:07Z |
dc.date.available | 2024-02-19T00:03:07Z |
dc.date.issued | 2023 |
dc.identifier.isbn | 9788968279485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4663 |
dc.description.abstract | 지역 불평등은 특정 지역의 문제가 아닌, 다양한 불평등의 양상이 공간적, 지역 측면에서 발현되는 결과적 특성임을 견지하고, 이러한 결과적 특성이 인구 변동과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 심층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불평등과 인구 변동 간 연관성을 심층적으로 분석,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주된 사회적 위험 중 하나인 지역 인구 위기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provid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nequality and population change in the spatial aspect. Especially, population change was approached in terms of de jure population count and de facto population cou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we presented policy tasks related to response to the regional population crisis currently facing Korean societ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약 5 제1장 서론 27 제1절 연구의 배경 29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구성 34 제2장 연구 방법과 선행연구 검토 37 제1절 주요 용어의 정의와 연구 방법 39 제2절 선행연구 검토 46 제3장 기초 특성 고찰 55 제1절 주요 인구 변동 특성과 함의 57 제2절 지역 불평등 특성과 함의 69 제3절 경제 성장과 지역 불평등 79 제1부 상주인구(de jure population) 활용 분석 87 제4장 지역 불평등과 인구 변동 간 연관성 분석 89 제1절 주요 변수 추세의 특징 92 제2절 주요 변수 간 연관성 분석 94 제3절 매개변수(노동시장 특성) 고려 104 제4절 주요 변수의 β-수렴성 분석 120 제5장 지역 불평등과 인구의 자연적, 사회적 증감 127 제1절 인구 이동, 인구 재분배와 지역 불평등 129 제2절 인구의 자연적, 사회적 증감과 지역 불평등 138 제2부 사실인구(de facto population) 활용 분석 151 제6장 생활인구를 활용한 지역 불평등 특성 진단 153 제1절 배경 및 목적 15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56 제3절 생활인구 개념 157 제4절 선행연구 검토 159 제5절 생활인구의 공간적 분포와 지역 불평등 진단 163 제7장 생활인구를 활용한 지역 불평등 전망 195 제1절 배경 및 목적 197 제2절 생활인구 영향요인 분석 198 제3절 미래 생활인구 분포 전망 203 제3부 결론부 215 제8장 결론 217 제1절 연구의 요약 219 제2절 정책적 시사점 225 참고문헌 233 부록 241 [부록 1] 세부 분석 결과 241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268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지역 불평등과 인구 변동 간 연관성에 대한 심층 연구 |
dc.title.alternative |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nequality and Demographic Change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지역 불평등 |
dc.subject.keyword | 지역 격차 |
dc.subject.keyword | 법정인구 |
dc.subject.keyword | 사실인구 |
dc.subject.keyword | 인구 변동 |
dc.subject.keyword | 인구의 사회적 변화 |
dc.subject.keyword | 인구의 자연적 변화 |
dc.subject.keyword | 생활인구 |
dc.subject.keyword | 공간분석 |
dc.subject.keyword | regional inequality |
dc.subject.keyword | regional disparity |
dc.subject.keyword | de jure population |
dc.subject.keyword | de facto population |
dc.subject.keyword | demographic change |
dc.subject.keyword | social population change |
dc.subject.keyword | natural population change |
dc.subject.keyword | living population in Korea |
dc.subject.keyword | spatial analysis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ang, Insu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Hyunjoo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Oh, Shinhwee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3.12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3-12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3-12 |
dc.citation.date | 2023 |
dc.date.dateaccepted | 2024-02-19T00:03:07Z |
dc.date.datesubmitted | 2024-02-19T00:03:07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일반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300027_1_1 |
dc.type.project | 일반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일반23-001-05]지역 불평등과 인구 변동 간 연관성에 대한 심층 연구 |
dc.subject.kihasa | 인구변화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