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관적 건강 상태와 건강 만족도를 중심으로 = Self-Perceived Health Among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Satisfaction

제목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관적 건강 상태와 건강 만족도를 중심으로 = Self-Perceived Health Among Older Adults Participating in Social Activitie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Satisfaction
저자

정희주 ; 안병일

저자(타언어)
Jung, Heejoo ; Ahn, Byeong-il
키워드
주관적 건강 인식 ; 고령화 ; 순서형 로짓 ; 클러스터 분석 ; 사회활동
발행연도
2023-12-3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3권 제4호, pp.122-137
초록
한국의 고령화 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노년기 건강 문제에 주목하여,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 정도가 주관적 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 9,920명을 대상으로 K-means clustering을 통해 노인 집단을 ‘사회활동에 비참여적인 노인’, ‘사회활동에 보통 참여적인 노인’, ‘사회활동에 적극 참여적인 노인’ 세 집단으로 그룹화하였고, 순서형 로짓 모형을 이용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활동에 적극 참여적인 노인’ 집단일수록 주관적 건강 상태와 건강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계효과 추정 결과, ‘사회활동에 적극 참여적인 노인’ 집단이 주관적 건강 상태와 건강 만족도에 대해 ‘만족함’을 선택할 확률이 각각 0.0887%p, 0.0777%p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 정도와 주관적 건강 인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3.43.4.122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