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정기혜 |
dc.date.accessioned | 2011-01-04T09:31:47Z |
dc.date.available | 2011-01-04T09:31:47Z |
dc.date.issued | 2010-08-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90 |
dc.identifier.uri | http://dx.doi.org/10.23062/2010.08.4 |
dc.description.abstract | 이명박 정부 출범에 따라 100대 국정과제가 추진, 완료, 진행되고 있고 식품안전과 관련한 과제도 20여개 과제가 추진되고 있다. 그 중 기 완료된 과제도 있고 현재 추진중인 과제도 있다. 식품위해물질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관리 대상 품목이 1,638개에서 1,882개로 ’12년까지 확대될 예정이고, 유통식품의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유통식품의 95%를 HACCP을 적용해서 생산하고자 있다. HACCP 적용확대는 최근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식품이물 혼입을 저감화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일련의 조치가 성공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의 확충이 함께 고려되어야만 내실있는 안전관리 강화가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현재 추진중에 있는 식품안전지표 구성 및 관리는 우리나라 식품안전관리 수준을 한눈에 파악하고, 연도별로 비교분석하여 문제점을 찾아 낼 수 있게 해주는 꼭 필요한 사업이다. 단, 안전지표 구성 후 지표 사용도를 높이기 위해 지표값에 대한 평가보고서 발간과 안전지표의 시의성을 유지하기 위한 주기적인 관리 등 추가 사업이 필요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1. 들어가며 2. 식품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 3. 지자체의 식품안전관리 업무 실적 평가 및 지원 4. 나오며 |
dc.format.extent | 10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title | 국민의 건강보호를 위한 식품안전관리체계 확충 |
dc.title.alternative | Strengthening of Food Safety Management for the Health of People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identifier.doi | 10.23062/2010.08.4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10 |
dc.citation.volume | 166 |
dc.citation.number | 8 |
dc.citation.startPage | 27 |
dc.citation.endPage | 3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10년 8월 통권 제166호, pp.27-3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8 No.166, pp.27-36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