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보장 분야 사각지대 축소와 부적정 지출 관리방안 연구 = A Study on Management of Coverage Gaps and EFC(Error, Fraud, Corruption) in Social Security Sector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임완섭
dc.contributor.author이주미
dc.contributor.author강지원
dc.contributor.author최혜진
dc.contributor.author송치호
dc.contributor.author이지은
dc.contributor.author정은희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6-12T07:54:36Z
dc.date.available2023-06-12T07:54:36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919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66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회보장 분야의 사각지대와 부적정 지출에 관해 2016년부터 2단계에 걸쳐 7년간 수행한 연구사업을 종합적·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주요 결과(인식조사, 사례연구 등)들을 비교하여 사각지대 해소와 부적정 지출 축소를 위한 다음과 같은 정책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먼저, 단기적ㆍ중기적 차원에서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서는 1) 대상자의 미신청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 2) 제도의 복잡성 완화를 위한 복지 급여 신청 과정의 간소화와 접근성 개선 3) 구조적 차원의 배제를 축소하기 위한 선정 기준의 간소화 4)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의 지속적인 수행과 효율성 제고 5) 한시적인 지원 수준 제고 및 지원 여부에 따른 효과 파악 등이 필요하다. 한편, 부적정 지출을 축소하기 위해서는 1) 공공재정환수법과 사회보장급여법의 모호성 제거, 2) 부적정 지출에 대한 환수율 제고 방안 마련, 3) 부정수급 사전 통제 방안의 강화, 4) 부정수급 관련 지표의 지속적 관리와 공표, 5) 지방자치단체에 부정수급 전담 인력 또는 전담 조직을 마련, 6) 자격, 절차 및 부정수급 관련 신고접수 체계에 대한 홍보 강화 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각지대와 부적정 지출에 대한 통합적 대응 방향으로 먼저, 제도 설계 및 개선 시 제도의 단순화, 둘째, 평가를 통한 프로그램 및 제도의 정합성 및 지속가능성 제고, 셋째, 사각지대와 부적정 지출에 대한 예방 차원의 조치 강화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abstractSolution of Coverage Gaps is a consistent goal always with priority in terms of effectiveness of welfare policies and people’s sense of welfare. And EFC(Error, Fraud, Corruption)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addressed in terms of efficient use of social security finances and sustainability of the system, which tends to have a very large social interest compared to the actual scale of occurrence. This study suggests following policy directions through overseas case studies and perception surveys. The short-term and medium-term countermeasures against Coverage Gaps and EFC include reduction of non-applications through active promotion of the systems, easing the complexity of the systems, simplifying the selection criteria, and continuing the visiting welfare service. Plans for reduction of EFC are to increase the recovery rate,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for prevention of fraudulent supply and demand, to continuously manage and announce indicators related to fraudulent supply and demand, and to install personnel or organizations dedicated to fraudulent matters in the local governments. The long-term and integrated policy direction encompasses all of the short-term and mid-term improvements mentioned above, and the main contents are 1) improvement and simplification of systems when designing, 2) evaluation for improvement of consistency and sustainability of programs and systems, and 3) reinforcement of preventive measures against blind spots and improper expenditur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사각지대와 부적정 지출의 개념 및 유형화 19 제1절 사각지대와 부적정 지출의 개념적 접근의 필요성 21 제2절 개념적 접근 22 제3절 사각지대와 부적정 지출에 대한 유형화 31 제3장 사회보장 분야 사각지대와 부적정 지출 관리체계 37 제1절 사각지대 부문 39 제2절 부적정 지출 부문 61 제4장 사각지대와 부정수급 인식 조사 및 기 수행된 조사와의 비교 분석 91 제1절 인식조사 개요 및 방법 93 제2절 사각지대 98 제3절 부적정 지출(부정수급) 124 제4절 인식조사 비교분석 136 제5장 해외 사례 및 비교 분석 173 제1절 사례연구 개요 및 방법 175 제2절 미국 사례 179 제3절 영국 사례 196 제4절 해외 사례의 비교분석 220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241 제1절 사각지대 측면 243 제2절 부적정 지출 측면 252 제3절 종합적·장기적 정책 방향 258 참고문헌 263 부록 283 [부록 1] 기초분석표 283 [부록 2] 미국의 빈곤가구 한시지원(TANF), 보충적 소득보장(SSI) 현황과 특성 331 [부록 3] 조사표 367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보장 분야 사각지대 축소와 부적정 지출 관리방안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Management of Coverage Gaps and EFC(Error, Fraud, Corruption) in Social Security Sector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각지대
dc.subject.keyword오류수급
dc.subject.keyword과오수급
dc.subject.keyword기망
dc.subject.keyword부패
dc.subject.keywordcoverage gaps
dc.subject.keyworderror
dc.subject.keywordfraud
dc.subject.keywordcorruption
dc.subject.keywordsocial security sector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im, Wan-sub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u-mi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Ji-wo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Hye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ng, Chi-h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ieu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oung, Eunhee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55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55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55
dc.citation.date2022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6-12T07:54:36Z
dc.date.datesubmitted2023-06-12T07:54:36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61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2-007-00]사회보장 분야 사각지대 축소와 부적정 지출 관리방안 연구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KIHASA Research
Subject Classification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Show simple item record

File Download

Link

share

qrcode
share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