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정홍원 |
dc.contributor.author | 김성아 |
dc.contributor.author | 최혜진 |
dc.contributor.author | 류진아 |
dc.contributor.author | 김진욱 |
dc.contributor.author | 이주하 |
dc.coverage.temporal | 2022-05-01 - 2023-02-28 |
dc.date.accessioned | 2023-06-08T01:04:37Z |
dc.date.available | 2023-06-08T01:04:37Z |
dc.date.issued | 2023 |
dc.identifier.isbn | 9788968278655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647 |
dc.description.abstract | 코로나19 팬데믹이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제시되고 있으나, 실증적 기반의 체계적 분석이라기보다 추론과 예견, 그리고 단편적 분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코로나19가 미친 영향에 대한 체계적, 실증적 분석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근거와 통찰력을 필요하며, 합리적 분석 틀과 균형적 시각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사회적 위험’이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코로나19 발생 이후에 사회보장제도를 통해 대응해야 할 사회문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사회보장정책의 방향성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적 위험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코로나19 위기 전후에 사회적 위험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코로나19 위기와 사회적 위험에 대한 인과적 설명과 영역별로 사회적 위험의 변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ystematize the social risks that the social security system will face after COVID-19,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future social security policies based on this. To this end, we tried to provide a causal explanation for the COVID-19 crisis and social risks. In addition, the trends and changes in social risk were analyzed by areas of income, labor, care, and social relation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crisis. Indicators of income distribution deteriorated overall, and more vulnerable groups were identified, such as temporary workers, the self-employed, single-person households, low-income households, households with children, and single-parent households. In terms of labor and jobs, the damage to small businesses and the self-employed was severe, while the economic shock from the infectious disease was not great for high-income earners and some large corporations. As the care service provided by the state shrank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the burden of care was passed on to the family or a care vacuum was created. In addition, with the normalization of non-contact and non-face-to-face, we faced a crisis in social relations. Korea experiences greater changes in social relations than other OECD countries during the pandemic. A new type of disaster, such as COVID-19, requires a complete review of the existing disaster response system or risk management system. In disaster risk response, policies such as health care, income security, and social services are faced with the need to play a key role. Policy suggestions such as improving income stability and expanding child care were present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코로나19와 사회적 위험 17 제1절 사회적 위험의 개념 19 제2절 사회적 위험의 유형과 특성 27 제3절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위험의 특징과 양상 34 제3장 코로나19 위기 이후 사회적 위험의 영역별 변화 양상 49 제1절 사회적 위험의 분석 영역 51 제2절 가구소득 영역 53 제3절 노동․일자리 영역 65 제4절 돌봄 영역 74 제5절 사회적 관계 영역 97 제4장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위험 대응 정책 129 제1절 가구소득 영역 131 제2절 노동․일자리 영역 139 제3절 돌봄 영역 154 제4절 사회적 관계 영역 167 제5장 결론 175 제1절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위험의 양상 177 제2절 향후 사회정책 방향성을 위한 정책제언 181 참고문헌 187 부록 199 |
dc.format | image/jpeg |
dc.format | application/pdf |
dc.format.extent | 212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코로나19 위기 이후 사회적 위험의 추이와 변동 |
dc.title.alternative | Trends and changes in social risks following the COVID-19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사회적 위험 |
dc.subject.keyword | 코로나19 |
dc.subject.keyword | 소득 |
dc.subject.keyword | 노동 |
dc.subject.keyword | 돌봄 |
dc.subject.keyword | 사회적 관계 |
dc.subject.keyword | social risks |
dc.subject.keyword | COVID-19 |
dc.subject.keyword | income |
dc.subject.keyword | labor |
dc.subject.keyword | care |
dc.subject.keyword | social relations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ung, Hongwo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Seong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Hyej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Ryu, Jin-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Jin Wook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Jooha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3.01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3-01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3-01 |
dc.citation.date | 2023 |
dc.date.dateaccepted | 2023-06-08T01:04:37Z |
dc.date.datesubmitted | 2023-06-08T01:04:37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연구개발적립금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200151_1_1 |
dc.type.project | 연구개발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연개금22-006-00]코로나19 위기 이후 사회적 위험의 추이와 변동 |
dc.subject.kihasa | 복지국가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