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가족형성과 사회불평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mily Formation and Social Inequality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최선영
dc.contributor.author이지혜
dc.contributor.author윤태영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4-26T01:16:22Z
dc.date.available2023-04-26T01:16:22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890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482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결혼지연 행동과 동기에 대한 이해를 통해, 심화되고 있는 결혼 감소 추세의 원인을 탐구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초기 성인기의 생애과정 형태와 계층적 차이를 파악하였다. 가족배경과 본인의 노동경력으로 구성된 ‘계층유형’에 따라 노동경험과 결혼전망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 연구는 결혼 전망이 결혼지연의 동기를 설명해준다고 이해하고, 결혼 전망을 결혼 가능성에 대한 전망과 결혼 가치로 구분하였다. 초기 성인기 노동시장 이행과정을 보면, 세대 내 이질성이 매우 컸고, 여성의 초기 성인기가 확연하게 ‘가족에서 시장으로’ 이동했으며, 남녀 모두 조기 진입자는 감소하고 후기 진입자는 늘어났다. 노동시장에 늦게 진입하는 것과 불안정한 일자리에 진입하는 것이 모두 결혼이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초기 성인기(19-29세)는 가족과 노동의 각축시기가 아니라, 시장의 요구가 지배하는 시기가 되었다. 이 시기의 인적자본 투자와 노동경력이 30대 이후 본격화되는 가족형성 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계층적 동질혼이 당연하게 생각되며, 대부분의 결혼이 계층적 칸막이 안에서 이루어질 것임을 시사한다. 계층유형 중 정체이력의 중하위계층 남녀의 결혼가능성 전망이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으로 준비되지 않았기 때문’이거나 결혼 후 계층지위 상승 기회가 사라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개인이 결혼에 부여하는 가치는 계층보다는 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들은 결혼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결혼을 일관되게 지향하는 반면, 여성들은 생애시간을 분할하여 일정 기간 동안 결혼의 가치를 유보하는 전략을 활용하고 있었다. 중하위계층 남성들의 ‘결혼지연’은 수단적인 특성이 있었으나, 여성들의 '결혼지연'은 그 자체가 목적이었다. 그러나 젠더 격차 역시, 결혼으로 인한 유무형의 불이익에 대한 고려에 의존하므로, 남성과 여성 모두의 결혼 지연은 사회경제적 불리함과 젠더 불이익에 대한 전략적 대응으로 이해할 수 있다.
dc.description.abstractMarriage decline and marriage delays are intensifying, with marriage delays concentrated among those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labor experiences of young men and women, the constraints they face, and how they affect their prospects for family formation. Labor market transitions in early adulthood are highly heterogeneous within generations, with a clear "family to market" shift in early adulthood for women, and fewer early entrants and more late entrants for both men and women. Both late entry into the labor market and entry into precarious jobs had a negative impact on marriage transition. We find that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work experience during this period directly affect the prospect of family formation after age 30. Homogamy across social strata is taken for granted, suggesting that most marriages will take place within social class compartments. Men and women in the lower middle and stagnated working trajectories have the most negative marriage prospects. This is because they are "not financially prepared" or believe that they will lose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heir job qualities after marriage. Men and women in the lower class do not expect to be supported by work-life balance programs, and the idea that having children will prevent women from working weighs heavily on both men and women. The value individuals place on marriage appears to vary by gender rather than class. Men place a high value on marriage and consistently pursue it, while women utilize a strategy of staggering their lifetimes and deferring the value of marriage for a period of time. However, these gender differences depend on considerations of the tangible and intangible disadvantages of marriage, so delaying marriage for both men and women can be understood as a strategic response to socioeconomic and gender disadvanta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9 제2절 선행연구 검토 14 제3절 이론적 검토 18 제4절 연구 방법 28 제2장 초기 성인기의 노동시장 진입 과정과 가족형성의 지연 43 제1절 ‘20대’의 교육, 고용, 결혼 45 제2절 학교-노동시장 이행 유형과 변화 53 제3절 취업이행 유형과 초기 성인기 결혼 지연 80 제3장 계층유형별 노동경험과 청년기 연장의 의미 87 제1절 학교-노동시장 이행과정과 계층적 차이 89 제2절 청년기 ‘가능성’의 신화와 이행기의 장기화 117 제4장 계층유형별 결혼 전망과 결혼 지연의 의미 135 제1절 청년세대의 결혼 전망 형성과정: 결혼 가능성과 결혼기대 137 제2절 계층유형별 결혼 전망: 동질혼과 성역할 전망 147 제3절 성별화된 결혼 지연과 새로운 가족형성의 전망 165 제5장 결론 187 제1절 연구의 함의 189 제2절 정책적 함의 194 참고문헌 199 부 록 207 [부록 1] 심층 면접 질문 목록 207 [부록 2] 부표 215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22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가족형성과 사회불평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Family Formation and Social Inequality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초기 성인기
dc.subject.keyword결혼
dc.subject.keyword계층
dc.subject.keyword젠더
dc.subject.keyword불평등
dc.subject.keywordyoung adulthood
dc.subject.keywordmarriage
dc.subject.keywordsocial class
dc.subject.keywordgender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Sunyo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i, Jihy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un, Tae-young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26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2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26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4-26T01:16:22Z
dc.date.datesubmitted2023-04-26T01:16:22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일반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I
dc.subject.nkisMiddleI1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46_1_1
dc.type.project일반사업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일반22-001-04]가족형성과 사회불평등에 관한 연구
dc.subject.kihasa인구변화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