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f Strategies for Promoting Public Welfare Activities

제목
사회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f Strategies for Promoting Public Welfare Activities
저자

고경환(Gho, Gyeonghoan) ; 박영선 ; 이연희김태완 ; 남기철 ; 손명구 ; 김원득 ; 박선미 ; 오영수 ; 정복교 ; 홍성태 ; 김성진 ; 김성진 ; 천미경 ; 조용찬

저자(타언어)
Gho, Gyeonghoan
키워드
사회공익활동 ;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 공익활동 플랫폼
발행연도
2023
발행기관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사회문제는 개인적으로 해결하기 힘들며 대개 사회적 참여와 공동체적 노력인 사회공익활동이 필요 하다. 이들 활동은 자원봉사, 시민사회운동, 지역 풀뿌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공익활동은 사회적 가치를 증진시키고 사회통합을 도모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공익활동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지속성이 낮아지고 있다. 바로 헌신과 희생을 당연시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공익활동에 대한 과소 평가이다. 이에 따라 공익활동에 관한 사회적 인정의 공론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일부 지방정부에서는 공익활동 증진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익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사회적 인정체계와 다양성과 소통성을 갖춘 플랫폼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회활동가의 특성과 욕구를 고려한 사회적 보상과 지원, 그리고 활성화 할 플랫폼 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공익활동가(자원봉사, 비영리민간단체, 마을공동체) 4,000명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인정 욕구 조사 결과, 자원봉사자들은 공공서비스 할인이나 공공시설 우선 사용권 등의 ‘경제적 예우’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사회적 존중’ 순이었다. 비영리단체나 마을공동체는 공익활동을 경제적 가치로 보상 또는 인정하는 ‘직업적 인정’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경제적 예우’ 순이었다. 따라서 공익활동 분야별로 기본 특성과 배경이 다른 만큼 인정방향은 자원봉사활동은 사회적 예우, 실비보상 및 간접예우 중심으로, 마을공동체·비영리민간단체는 사회적 예우에 경제적, 직업적 인정 중심으로 분리하여 제시하였다. 즉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은 5대 추진전략과 13개 추진과제 그리고 35개 개별과제로 제시하였다. 특히 개별과제에 대해 두 그룹, 즉 자원봉사활동과 마을공동체·NPO를 분리하여 제안하였고, 기존제도와 신규제안으로 구분 표시하였다. 마을공동체와 NPO는 사회적 인정에 대한 역사가 짧은 만큼 대부분 신규제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현행 공익활동 플랫폼의 내·외부적 환경맥락을 SWOT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강점위협전략 (ST)과 약점위협전략(WT)을 적용한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였다. 강점위협전략은 공식적 인증 기능을 탑재한 새 플랫폼을 구축하거나 현행 플랫폼의 전면 개편을, 약점위협전략은 기존의 각 온라인 체계 에서 개별 플랫폼의 기능(소통·공유, 활동이력관리, 정보 통합검색 등)을 보강하는 것이다.
앞으로 공익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정체계 등이 도입되어 활동가의 효능감과 자긍심을 제고하고 공동 체성의 회복과 사회적 가치 실현의 기반이 되길 기대한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3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방법 8

제Ⅰ부 공익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정 개념과 현황

제2장 공익활동의 개념과 사회적 인정의 쟁점
제1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에 관한 논의 15
제2절 공공의 이익과 시민 공익활동 19
제3절 공익활동과 사회적 인정 24
제4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에 대한 국제 비교론적 함의 30
제5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체계 39

제3장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사례
제1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사례 : 자원봉사 45
제2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사례 : 비영리민간단체 80
제3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사례 : 마을공동체 114
제4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사례 : 국제 비교론적 준거 및 해외 사례 143

제Ⅱ부 공익활동 플랫폼의 역할과 운영현황

제4장 공익활동 플랫폼의 개념과 역할
제1절 플랫폼의 개념과 역할 165
제2절 공익활동 플랫폼의 가치와 역할 169

제5장 공익활동 플랫폼의 현황
제1절 국내외 공익활동 플랫폼의 현황 175
제2절 공익활동 플랫폼의 현황 및 사례 시사점 214

제Ⅲ부 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욕구조사

제6장 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욕구조사 : 일반 현황 분석
제1절 조사개요 223
제2절 주요 내용 분석 229

제7장 사회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욕구조사 : 주요 특성별 분석
제1절 공익활동의 참여와 가치관 255
제2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방안 261
제3절 공익활동 플랫폼의 역할과 기능 270
제4절 시사점 291

제Ⅳ부 공익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제8장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방안과 정책과제
제1절 사회적 인정 방안 관련 주요 쟁점 301
제2절 공익활동의 사회적 인정 기반 조성과 정책 과제 312
제3절 사회적 인정 대상별 과제 328

제9장 공익활동의 플랫폼 구축 방안과 정책과제
제1절 공익활동 플랫폼 구축 방향 333
제2절 공익활동 플랫폼 구축을 위한 과제 339

제10장 결론
제1절 요약 및 결론 353
제2절 정책제언 368

■ 참고문헌 375

■ 부록 391
1. 시민사회 공익활동 현장의 목소리: 포커스그룹인터뷰(FGI) 결과 분석 391
2. 사회공익활동 활성화 방안 욕구조사(설문지) 409
보고서 번호
정책보고서 2023-04
Fulltext
https://www.nkis.re.kr/subject_view1.do?otpId=OTP_0000000000012015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