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상병수당 도입 경과와 함의 = The Progress in the Implementation of Sickness Benefit After Covid-19 and Its Implications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김명희 |
dc.date.accessioned | 2023-04-13T00:28:34Z |
dc.date.available | 2023-04-13T00:28:34Z |
dc.date.issued | 2023-04-01 |
dc.identifier.issn | 1226-3648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405 |
dc.identifier.uri | https://doi.org/10.23062/2023.04.5 |
dc.description.abstract | 상병수당 제도는 취업자가 업무 외 상병으로 일을 할 수 없는 기간 동안 공적으로 소득을 지원하는 제도로, 노동자가 충분한 치료와 회복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건강 충격으로 인한 빈곤화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은 국제사회에서 예외적으로 법정 유급병가와 공적 상병수당 제도 둘 다 존재하지 않지만,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아프면 쉴 권리’에 대한 사회적 담론이 급속하게 확산되면서 2022년 7월부터 6개 지자체에서 상병수당 1단계 시범사업이 시작되었다. 이 제도가 건강형평성 증진과 사회 불평등 완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우선 다른 사회보장제도와의 연계를 통해 제도 공백,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법정 유급병가 확립이 시급하다. 또한 모든 취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보편성 원칙은 반드시 준수되어야 하며, 최소한 국제노동기구(ILO) 협약(C130)의 하위 기준을 충족하는 급여 수준과 보장 기간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제도 운영 과정에서 사람 중심성을 보장해야 하며, 재원 조달의 형평성을 고려해야 한다. 상병수당 제도를 운영하는 국가들 사이에서 사업주와 노동자의 기여 분담률, 자영업자의 기여율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재정추계 같은 근거 확보만큼이나 중요 한 것은 사회적 대화를 통해 재정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공정한 분담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e sickness benefit is a publicly funded income support scheme to help workers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y are unable to work due to an off-the-job injury or illness, so that they can receive adequate treatment and return to work and to prevent poverty due to health shocks. At the corporate and societal level, it is also a device to mitigate the decline in labor productivity caused by presenteeism. Most countries in the world have a public sickness benefit program, but South Korea is an exception, with neither legal paid sick leave nor a sickness benefit. With the onset of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and a series of large-scale outbreaks in workplaces, the social discourse on the “right to rest” when sick has grown rapidly. In July 2020, the government announced ‘Comprehensive Plan for the Korean New Deal’, which included a plan to introduce a sickness benefit program. Accordingly, the pilot project was launched in July 2022 in six districts. With the hope that the sickness benefit program will contribute to promoting health equity and reducing social inequality, we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the points that must be considered and supplemented when implementing the system.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extent | 16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상병수당 도입 경과와 함의 |
dc.title.alternative | The Progress in the Implementation of Sickness Benefit After Covid-19 and Its Implications |
dc.type | Article |
dc.type.local | Article(Series) |
dc.subject.keyword | 상병수당 |
dc.subject.keyword | 보편적건강보장 |
dc.subject.keyword | 건강불평등 |
dc.subject.keyword |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 |
dc.subject.keyword | Sickness Benefits |
dc.subject.keyword | Universal Health Coverage |
dc.subject.keyword | Health Inequality |
dc.subject.keyword |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
dc.description.eprintVersion | published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Myounghee |
dc.identifier.doi | 10.23062/2023.04.5 |
dc.citation.title | 보건복지포럼 |
dc.citation.title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dc.citation.volume | 2023 |
dc.citation.volume | 318 |
dc.citation.number | 4 |
dc.citation.date | 2023-04-01 |
dc.citation.startPage | 50 |
dc.citation.endPage | 6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보건복지포럼 2023년 4월 통권 제318호, pp.50-66 |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 |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3.4 No.318, pp.50-66 |
dc.date.dateaccepted | 2023-04-13T00:28:34Z |
dc.date.datesubmitted | 2023-04-13T00:28:34Z |
dc.description.subject |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보장 제도 변화 및 정책 과제 |
dc.description.subject | Changes Made to Social Security Following Covid-19 and Policy Tasks Ahead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안전망 |
dc.description.section | 이달의 초점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