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같지만 다른 그들, 청년: 성별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영향요인의 탐색 연구 = Young People, the Same Generation but Different Individuals: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by Men and Women

제목
같지만 다른 그들, 청년: 성별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영향요인의 탐색 연구 = Young People, the Same Generation but Different Individuals: An Exploratory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by Men and Women
저자

강지원 ; 장숙랑 ; 김해송 ; 김민경 ; 김현수 ; 주지영 ; 이경영 ; 김유경

저자(타언어)
Kang, Jiwon ; Jang, Soongnang ; Kim, Heasong ; Kim, Minkyoung ; Kim, Hyun-soo ; Joo, Jiyoung ; Lee, Kyoungyoung ; Kim, Yookyung
키워드
청년 ; 자살예방정책 ; 자살생각 ; 자살시도 ; 젠더
발행연도
2023-03-3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3권 제1호, pp.69-84
초록
본 연구는 실효성 있는 청년 자살예방정책 제언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주목적으로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 및 심리사회적 특성, 가족 특성 등의 요인에 따른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수행된 조사연구이다. 전국 1,012명의 만 20~39세 청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성별로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 참여자의 42.1%가 자살생각이 있었으며, 5.6%는 자살시도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생각 및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교육 수준과 주관적 건강 상태가 낮고 가족건강성(경제적 안정과 협력)이 낮을수록,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가 높을수록 수면의 질이 보통일 때 자살생각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우울감이 높을수록 자살생각 위험이 높았다. 자살시도는 남성의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을수록, 가족건강성(가족문화와 사회 참여)이 낮을수록 위험이 높았으며 여성은 실직 경험이 있을 때, 주관적 경제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높을수록, 사회 신뢰도가 높을수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을 위한 실효성 있는 자살 예방 정책을 위해서는 청년들의 특성에 따라 정책을 세분화하고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자살생각과 자살시도에 각각 다르게 반응하는 요인들을 면밀히 파악해야 하며, 성별 영향요인의 분포와 민감성의 차이로 나타나는 양상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3.43.1.69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