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영국의 이민자 사회권 변화에 관한 연구: 복지제도와 이민제도의 교집합 맥락에서 = Immigrants’ Social Rights in the UK: The Intersection of Welfare and Immigration Polici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경환
dc.date.accessioned2023-04-11T00:39:30Z
dc.date.available2023-04-11T00:39:30Z
dc.date.issued2023-03-3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382
dc.description.abstract최근 한국 사회에서 이민자의 사회보장 또는 사회서비스에의 접근에 관한 우려가 상당한 사회적 논쟁으로 이어지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영국의 이민자 사회권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영국 복지제도와 이민제도의 변화 속에서 비EEA 이민자, EEA 이민자, 난민 등 세 가지 이민자 집단의 사회권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영국 사회에서 이민자 사회권은 이민자의 체류자격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비EEA 이민자, EEA 이민자, 난민 등 세 이민자 집단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모습을 보인다. 1990년대 이후 영국의 복지제도에서 복지수급자의 의무(특히, 노동시장에의 참여)를 강조하는 복지 조건부 경향이 강화됨과 동시에, 이민제도에서 이민자의 의무(특히, 시민적 자격요건)를 요구하는 시민적 통합 접근이 강조됨에 따라, 이민자의 체류자격에 수반된 권리(특히, 복지수급권)는 축소되는 한편, 복지수급과 관련한 이민자의 의무 또는 자격요건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이민자 사회권 개념이 가지는 복잡성뿐 아니라, 이민자 사회권의 변화 이면에 복지수급자의 조건부 또는 의무를 강조하는 정책적 변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한국의 이민자 통합에 관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immigrants’ social rights have changed in the UK. In particular, as societal concerns over immigrants’ access to the Korean social security system have grown recen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ion of immigrants in Korea. It analysed the social rights of three immigrant groups in the UK – i.e., non-EEA immigrants, EEA immigrants and refugees – within welfare and immigration policy changes in the UK. In general, the social rights of three immigrant groups all have contracted over time, although to varying extents. Specifically, since the 1990s the UK welfare system has strengthened welfare conditionality to emphasise welfare recipients’ obligations (e.g., labour market participation), and its immigration system introduced the civic integration approach in relation to citizens’ obligations for integration into the society. With such welfare and immigration policy changes, whereas immigrants’ rights (especially, social rights) accompanied by their status of residence have contracted, their obligations (and eligibility requirements) have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integration of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by showing the conceptual complexity of immigrants’ social rights, as well as the influence of welfare and immigration policy changes (particularly, to emphasize the conditionality or obligations of citizens) over their changes.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영국의 이민자 사회권 변화에 관한 연구: 복지제도와 이민제도의 교집합 맥락에서
dc.title.alternativeImmigrants’ Social Rights in the UK: The Intersection of Welfare and Immigration Polici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이민자 사회권
dc.subject.keyword영국
dc.subject.keyword복지 조건부
dc.subject.keyword시민적 통합
dc.subject.keywordImmigrants’ Social Rights
dc.subject.keywordUK
dc.subject.keywordWelfare Conditionality
dc.subject.keywordCivic Integration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Kyunghwan
dc.identifier.doi10.15709/hswr.2023.43.1.299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43
dc.citation.number1
dc.citation.date2023-03-31
dc.citation.date2023-03-31
dc.citation.date2023-03-31
dc.citation.date2023-03-31
dc.citation.date2023-03-31
dc.citation.date2023-03-31
dc.citation.date2023-03-31
dc.citation.startPage299
dc.citation.endPage31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43권 제1호, pp.299-31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43 No.1, pp.299-318
dc.date.dateaccepted2023-04-11T00:39:30Z
dc.date.datesubmitted2023-04-11T00:39:30Z
dc.subject.kihasa복지국가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