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의 노동시장 성과 = Labor Market Outcomes of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s in Kore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함선유
dc.contributor.author김현경
dc.contributor.author한겨레
dc.contributor.author이정희
dc.coverage.temporal2022-01-01 - 2022-12-31
dc.date.accessioned2023-03-13T06:48:10Z
dc.date.available2023-03-13T06:48:10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886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20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가 노동시장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는지, 전체 노동시장의 임금 분포에는 어떠한 기여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보건과 복지 부문을 포괄적으로 살펴본다는 점, 전체 노동시장의 관점에서 이들 일자리를 장기간 평가한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지닌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는 정부의 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그 양과 질이 결정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상보육제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장기요양보험제도 등 주요한 제도의 확대나 변화 시기에 일자리의 수가 급증하였으며, 임금 수준 역시 최저임금정책이나 서비스 단가 조정 시에 즉시 개선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부가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에 재정 지원자이자 고용주이자 감독자의 역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향후 일자리의 양적 팽창에 더하여 질적 개선을 이루기 위한 수가 고도화나 협의 체계 마련 같은 정책적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vestigates the labor market outcomes of Korean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s, which have been rapidly widening recently.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comprehensively examines both the health and social care se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tire labor market over a long period. Results show that the increase in health and social occupations in Korea is related to the increase in long-term care, rehabilitation, and nursing care personnel. The number of health professions working in other social care facilities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In this context, the increase of such professions between 2011 and 2021 is mainly concentrated in the middle and lower-wage classes. As jobs in the sector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low-wage bracket, their expansion has contributed to lowering the average wage of all the wage earners and widening the gender wage gap. Analysis of the wage determinants of health and social professions reveals that only the high-wage professions (such as doctors) earn a relatively higher return based on qualifications or work experience. The panel data analysis shows that health and social professions record a higher turnover rate and a shorter tenure than other non-health and social jobs. Short tenure and frequent movement in the health and social field are due to the career structure that allows easy movement within the qualification system. However, it can be a negative factor for skill formation and quality of care. This study also confirms that government policies sensitively determin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s. For example, number of jobs has increased rapidly during the expansion or change of policies such as the free childcare system,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and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t also shows that the wage level ha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adjusting the minimum wage or service unit price. These results mean that the government is the practical financial supporter, employer, and supervisor of health and social profess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9 제2절 연구 대상 12 제3절 연구 내용 18 제2장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 제도의 현황과 최근 변화 21 제1절 들어가며 23 제2절 보건 부문 일자리 관련 법·제도 26 제3절 복지 부문 일자리 관련 법·제도 44 제4절 소결 60 제3장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의 규모와 일자리 질 67 제1절 들어가며 69 제2절 보건복지 분야 자격자와 활동 인력 추이 70 제3절 지역별고용조사를 통해 본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 89 제4절 소결 104 제4장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 확대와 노동시장 변화 109 제1절 들어가며 111 제2절 선행연구 113 제3절 임금 분포별 일자리 증감 115 제4절 일자리 증가의 노동시장 영향 137 제5절 소결 160 제5장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의 특성과 임금 설명 요인 163 제1절 들어가며 165 제2절 선행연구 166 제3절 분석 방법 172 제4절 분석 결과 177 제5절 소결 202 제6장 보건복지 분야 일자리 이동과 이직 요인 205 제1절 들어가며 207 제2절 선행연구 208 제3절 연구 방법 209 제4절 분석 결과 211 제5절 소결 241 제7장 결론 243 제1절 주요 연구 결과 245 제2절 정책적 제언 250 참고문헌 255 부록 269
dc.formatimage/jpeg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9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보건복지 분야 일자리의 노동시장 성과
dc.title.alternativeLabor Market Outcomes of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s in Korea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보건의료인력
dc.subject.keyword돌봄직
dc.subject.keyword임금분포
dc.subject.keyword이직
dc.subject.keyword사회적 돌봄
dc.subject.keywordhealth care personnels
dc.subject.keywordCare workers
dc.subject.keywordWage distribution
dc.subject.keywordTurnover
dc.subject.keywordSocial Car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m, Sunyu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Hyeon-kyeo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Gyeore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Jeong-Hee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a.2022.22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22-22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22-22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3-13T06:48:10Z
dc.date.datesubmitted2023-03-13T06:48:10Z
dc.type.research기초연구
dc.type.nkis기본연구보고서
dc.subject.nkisMainD
dc.subject.nkisMiddleD2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P202200013_1_1
dc.type.project기본연구과제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기본22-011-00]보건복지 분야 일자리의 노동시장 성과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