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정신건강연구센터 운영: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건강 증진 및 복지서비스 지원 방안 =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service support strategies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the community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전진아 |
dc.contributor.author | 이수빈 |
dc.contributor.author | 박주현 |
dc.contributor.author | 이한나 |
dc.contributor.author | 최소영 |
dc.contributor.author | 배은미 |
dc.contributor.author | 하경희 |
dc.contributor.author | 전진호 |
dc.contributor.author | 채수미 |
dc.coverage.temporal | 2022-01-01 - 2022-12-31 |
dc.date.accessioned | 2023-03-08T05:26:40Z |
dc.date.available | 2023-03-08T05:26:40Z |
dc.date.issued | 2022 |
dc.identifier.isbn | 9788968278709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165 |
dc.description.abstract | 지역사회 기반 정신질환자의 회복을 지원하기 위한 복지서비스는 법에 명시되어 있을 뿐 실질적인 복지서비스로 구현되지 못하였고,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 거주 및 회복을 위한 신체건강은 정신질환자에게 기본적이자 필수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정신질환자의 신체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 역시 제한적이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목소리뿐 아니라 가족과 보호자 및 현장 실무자의 의견을 담아 정신질환자의 건강, 건강관리 및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확인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건강 및 복지서비스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
dc.description.abstract | Global and national policies emphasize that people with mental illness should be supported for recovery in order to enable them to live independently and integrated in the community. In Korea, although services for community-based recovery support are specified in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they have not been fully implemented. In addition, although physical health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is a basic and essential element for living in the community and recovery of illness, support in the field has been limited for improving their physical health. Therefore,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 stakeholder survey, qualitative interviews, and expert advisory meetings, this study explores the health status, health and welfare service use experience and demand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living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focusing on individual health and welfare service areas, this study suggests ways how to improve health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living in the community, how to increase their access to welfare services, how to lead independent lives, how to get employment while receiving legitimate convenience, and how to support them to enjoy education, culture and leisure life without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long with this, the study suggests policy support measures for discussions due to the recent abolition of Article 15 of the Welfare of Disabled Persons 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 내용 17 제3절 연구 방법 20 제2장 정신질환자 건강 및 복지서비스 국내외 법제도 고찰 43 제1절 국내 정신질환자 건강 및 복지서비스 관련 법제도 45 제2절 정신질환자 대상 국제기구 권고 사항 62 제3장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건강 71 제1절 정신질환자의 건강을 다룬 선행연구 고찰 74 제2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건강 현황 80 제3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건강지원서비스 이용 경험 108 제4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건강증진 지원 방안 123 제4장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자립생활 135 제1절 정신질환자의 자립생활을 다룬 선행연구 고찰 139 제2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자립생활 경험 144 제3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자립생활지원서비스 이용 경험 159 제4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 자립생활 지원 방안 176 제5장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고용 193 제1절 정신질환자의 고용을 다룬 선행연구 고찰 195 제2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고용 현황 및 취업 경험 201 제3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고용지원서비스 이용 경험 220 제4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고용지원 방안 241 제6장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교육, 문화/여가, 가족 지원 253 제1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교육 참여 경험과 지원 방안 256 제2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문화와 여가 참여 경험과 지원 방안 275 제3절 정신질환자 가족의 돌봄 경험과 지원 방안 290 제7장 결론 307 제1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건강 및 복지서비스 이용 현황 309 제2절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건강 및 복지서비스 지원 방안 317 참고문헌 333 부록 349 [부록 1] 양적 설문조사표 349 [부록 2] 질적 면담조사표 386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408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사회정신건강연구센터 운영: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건강 증진 및 복지서비스 지원 방안 |
dc.title.alternative | Health promotion and welfare service support strategies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the community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지역사회 |
dc.subject.keyword | 정신질환자 |
dc.subject.keyword | 건강 |
dc.subject.keyword | 복지서비스 |
dc.subject.keyword | community |
dc.subject.keyword | people with mental illness |
dc.subject.keyword | health welfare services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un, Jin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Sub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Park, Juhy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Hann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Soyo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Bae, Eunmi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a, Kyunghe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Jhone, Jin Ho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ae, Sumi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2.06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2-06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2-06 |
dc.citation.date | 2022 |
dc.date.dateaccepted | 2023-03-08T05:26:40Z |
dc.date.datesubmitted | 2023-03-08T05:26:40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기본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200056_1_1 |
dc.type.project | 일반사업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일반22-002-00]사회정신건강연구센터 운영: 지역사회 거주 정신질환자의 건강증진 및 복지서비스 지원 방안 |
dc.subject.kihasa | 보건의료 서비스 |
dc.identifier.dataportal | https://www.kihasa.re.kr/dataportal/kor/contents/ContentsList.html?menuId=2010117&rootId=2010001&dtb_year=2022&dtb_subject=%EC%A0%95%EC%8B%A0%EC%A7%88%ED%99%98%EC%9E%90+%EC%84%9C%EB%B9%84%EC%8A%A4+%EC%9D%B4%EC%9A%A9%EA%B2%BD%ED%97%98+%EC%A1%B0%EC%82%AC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