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 탐지를 위한 탐색적 자료 분석 및 시사점 = Exploratory Data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Detecting Fake News Related to COVID-19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오미애
dc.date.accessioned2023-02-27T00:45:14Z
dc.date.available2023-02-27T00:45:14Z
dc.date.issued2023-02-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2082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3.02.6
dc.description.abstract감염병 관련 허위 정보 및 가짜뉴스는 사람의 생명과 연관되어 있으며, 잘못된 정보로 인해 사회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피해는 막대하다. 실제로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로 인해 2020년 1월부터 3월까지 전 세계에서 800여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1) 많은 정보 속에서 가짜뉴스를 판별하는 것이 점점 중요해지는 상황에서 기계학습 방법은 가짜뉴스 탐지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 탐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과 기계학습을 통한 가짜뉴스 탐지에 수반되는 몇 가지 이슈 및 향후 과제를 시사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abstractFalse information and fake news about infectious diseases can be a huge threat, as they involve human lives and can cause a lot of social confusion. In fact, more than 800 people died around the world from January to March 2020 due to fake news related to COVID-19. In a sea of information, identifying fake news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and machine learning method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detecting fake news. This study employed exploratory data analysis to detect fake news related to COVID-19. Additionally, it looks at the potential difficulties and implications of employing machine learning to identify fake news.
dc.formattext/plain
dc.format.extent1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s://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 탐지를 위한 탐색적 자료 분석 및 시사점
dc.title.alternativeExploratory Data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Detecting Fake News Related to COVID-19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Miae
dc.identifier.doi10.23062/2023.02.6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3
dc.citation.volume316
dc.citation.number2
dc.citation.date2023-02-01
dc.citation.startPage68
dc.citation.endPage8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3년 2월 통권 제316호, pp.68-80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3.2 No.316, pp.68-80
dc.date.dateaccepted2023-02-27T00:45:14Z
dc.date.datesubmitted2023-02-27T00:45:14Z
dc.subject.kihasa보건복지 정보화
dc.subject.kihasa사회보장 통계
dc.subject.kihasa미래질병위험
dc.description.section정책분석과 동향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보건복지 정보화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통계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