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보장 재정추계 방법론 개선 방안 연구 -재정추계 모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ing Methdology for Social Security Financial Projection. : Focusing on Financial Projection Model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송창길
dc.contributor.author고경표
dc.contributor.author최현수
dc.contributor.author김지운
dc.date.accessioned2023-02-21T05:48:29Z
dc.date.available2023-02-21T05:48:29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9379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186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회보장 재정추계 방법론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로, 최근 급변하는 인구와 경제 상황에서 사회보장제도의 올바른 방향 설정을 위해 재정추계 방법론의 고도화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그간 일관된 기준 없이 각 사회보험 기관의 재정추계 결과를 조합하던 방식과 재정수입에 대한 고려 없이 재정지출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현 추계 방법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개선 방안 도출을 위해 기존 재정추계 모형을 세 가지 형태로 분류, 검토하였고, 이를 통해 마이크로시뮬레이션 모형과 중첩세대 일반균형 모형 등의 활용이 기존의 재정추계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방안임을 도출하였다. 특히, 해당 모형들의 활용은 인구나 거시경제, 사회보장제도변수 등 주요 가정변수들의 환류효과를 고려하거나 이질적 개인에 대한 여러 분포적 특성을 파악하는 강점이 있음을 보였고, 이런 방안들이 OECD에서 제안하는 장기재정분석의 선제요건에 충족할 뿐만 아니라 거시 및 미시적 측면에서 주요 정책적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s about improving the methodologies for social security financial projection. By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financial projection situations, it suggests that in order to set the correct direction for social security systems in the face of rapidly changing populations and economic conditions, financial projection methodologies need to be advanced. The study classifies and reviews three types of financial projection models that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and presents a plan to improve the way financial projection has been combined without consistent standards. Furthermore, it argues that this plan is significant because it meets the leading practice of the OECD and allows for both macro and micro policy analysi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사회보장 재정추계 현황 15 제1절 국내 사회보장 재정추계 현황 17 제2절 국내외 사회보장 재정추계 비교 53 제3절 소결 68 제3장 주요 재정추계 모형 검토 71 제1절 조성법에 기초한 모형 73 제2절 마이크로시뮬레이션 모형 89 제3절 중첩세대 일반균형 모형 99 제4절 소결 115 제4장 사회보장 재정추계 방법론 개선 방안 119 제1절 재정추계 주요 가정변수 일원화 방안 121 제2절 사회보장 재정추계모형의 이원화 방안 126 제3절 소결 131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33 제1절 주요 결과 135 제2절 연구의 한계점 137 제3절 시사점 138 참고문헌 1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image/jpeg
dc.format.extent15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보장 재정추계 방법론 개선 방안 연구 -재정추계 모형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Improving Methdology for Social Security Financial Projection. : Focusing on Financial Projection Model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보장 재정추계
dc.subject.keyword조성법
dc.subject.keyword연금수리모형
dc.subject.keyword마이크로 시뮬레이션 모형
dc.subject.keyword중첨세대 일반균형
dc.subject.keywordSocial Security Financial Projection
dc.subject.keywordComponent-based model
dc.subject.keywordActuarial model
dc.subject.keywordMicro-simulation model
dc.subject.keywordOverlapping Generations Model of General Equilibrium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ong, Changgil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Kyung-py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Hyunsoo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Jiwoon
dc.type.other기타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i.2022.07
dc.identifier.localId워킹페이퍼 2022-07
dc.identifier.localIdMiscellaneous Reports 2022-07
dc.citation.date2022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3-02-21T05:48:29Z
dc.date.datesubmitted2023-02-21T05:48:29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타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7
dc.type.project기타보고서
dc.subject.kihasa소득보장 일반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소득보장 일반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