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미래의 삶을 위한 자산 실태 및 대응방안 = The Current Status of Assets and Responses of Young Adults in South Korea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곽윤경 |
dc.contributor.author | 하은솔 |
dc.contributor.author | 오욱찬 |
dc.contributor.author | 신영규 |
dc.coverage.temporal | 2022-01-01 - 2022-12-31 |
dc.date.accessioned | 2023-02-21T05:30:44Z |
dc.date.available | 2023-02-21T05:30:44Z |
dc.date.issued | 2022 |
dc.identifier.isbn | 9788968278693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1862 |
dc.description.abstract | 이 연구는 청년의 미래 삶을 위한, 청년의 자산 및 부채 실태와 자산의 양상 및 복지욕구에 대해 살펴보고, 정책적 함의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고 중앙정부 및 지자체에서 수행하는 자산형성 정책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청년의 자산 및 부채를 분석하고, 자산을 둘러싼 청년층의 변화된 인식과 태도 그리고 복지욕구를 당사자 관점에서 파악 및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년 미래의 삶을 위한 정책적 함의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young adults’ assets and debts, to identify changing attitudes of them towards assets and their welfare needs, an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First of all, this study delves into previous studies on assets and reviews Singapore and domestic cases. Using the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we analyze young adults’ assets and debts from 2012 to 2021, specifically focusing on young adult heads of households aged 19 to 39 across the nation. Then, FGI interviews are carried out with those aged 19 to 39 liv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to find out how they perceive assets and debts, how they accumulate the net asset, and what their welfare needs are in this matter, with the way the current policy can improve. Finally,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mixed method findings, with some limitations and future studies behin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7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6 제2장 선행연구 및 관련 제도 고찰 19 제1절 자산의 이해 21 제2절 선행연구 23 제3절 국내외 자산형성지원제도 28 제3장 자산 및 부채 실태 47 제1절 청년의 자산 실태 51 제2절 청년의 부채 실태 62 제4장 자산의 양상 및 복지욕구 83 제1절 자산 관련 인식 변화 85 제2절 자산에 대한 인식과 복지욕구 90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점 121 제1절 결론 123 제2절 정책적 함의점 127 참고문헌 135 부록 145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155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청년 미래의 삶을 위한 자산 실태 및 대응방안 |
dc.title.alternative | The Current Status of Assets and Responses of Young Adults in South Korea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자산 |
dc.subject.keyword | 부채 |
dc.subject.keyword | 자산형성지원정책 |
dc.subject.keyword | 청년 |
dc.subject.keyword | 청년정책 |
dc.subject.keyword | Asset, Debt |
dc.subject.keyword | Asset-Building(Asset-Based) Policy |
dc.subject.keyword | Young Adults |
dc.subject.keyword | Youth Policy |
dc.subject.keyword | South Korea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wak, YoonKyung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Ha, Eun-sol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Oh, Ukcha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Shin, Young-Kyu |
dc.type.other | 연구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a.2022.05 |
dc.identifier.localId | 연구보고서 2022-05 |
dc.identifier.localId | Research Monographs 2022-05 |
dc.citation.date | 2022 |
dc.date.dateaccepted | 2023-02-21T05:30:44Z |
dc.date.datesubmitted | 2023-02-21T05:30:44Z |
dc.type.research | 기초연구 |
dc.type.nkis | 기본연구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Number | P202200008_1_1 |
dc.type.project | 기본연구과제 |
dc.description.sponsorshipAwardTitle | [기본22-006-00]청년 미래의 삶을 위한 자산 실태 및 대응방안 |
dc.subject.kihasa | 소득보장 일반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