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Ⅸ):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통합도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 A Study on Assessment of Social Cohesion Status with Policy Implications(Ⅸ) : Policy Direction for Enhancing Social Integration in the Post-COVID-19 era

제목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Ⅸ):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사회통합도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 = A Study on Assessment of Social Cohesion Status with Policy Implications(Ⅸ) : Policy Direction for Enhancing Social Integration in the Post-COVID-19 era
저자

이태진(Lee, Taejin) ; 김동진(Kim, Dongjin) ; 곽윤경(Kwak, YoonKyung) ; 이원진(Lee, Wonjin) ; 우선희 ; 김지원

저자(타언어)
Lee, Taejin ; Kim, Dongjin ; Kwak, YoonKyung ; Lee, Wonjin ; Woo, Sunhee ; Kim, Ji-Won
키워드
사회통합 ; 코로나19 이후 ; 경제적 충격 ; 건강불평등 ; 사회적 지지 ; 복지정책 대응 인식
발행연도
2022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이 보고서는 코로나19가 가져온 사회·경제적 파장과 그 결과가 개인과 가족에 미친 사회경제적 및 신체정신적 영향을 탐색해보고 이들과 사회통합 간의 관계를 가늠함으로써 사회통합도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19의 영향에 관한 사회조사(‘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0년에 비해 주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는 높아졌지만 사회통합, 신뢰, 지지, 공정성 등 사회구성원으로서 안정적이고 안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심리적 상태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이후 두 차례의 대선을 치르면서 사회통합도와 사회신뢰도는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비정규직, 일용근로자, 특수고용직, 사업주/자영업자, 저소득 근로자의 경제적 충격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사회통합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코로나19 발병 이전에 비해 취약계층(신체건강, 정신건강, 사회적 경제적 취약 등)에서 상대적으로 건강이 더 나빠졌으며 우울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뢰관계를 재구축할 수 있는 범사회적 정책 방향 제시와 사회적 약자 지원 및 공공성에 대한 국가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하고,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사회정책에 형평성 개념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5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5
제2절 연구 내용 및 방법 17

제2장 이론적 배경 25
제1절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나타나는 취약성 27
제2절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과 사회통합 및 복지정책 인식 30
제3절 코로나19 취약계층과 건강불평등 31
제4절 코로나19 이후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영향요인 34

제3장 코로나19 전후 삶의 만족도와 사회통합, 정부대응 인식 변화 37
제1절 들어가며 39
제2절 주관적 행복과 삶의 만족도 41
제3절 사회통합 인식 50
제4절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및 향후 지원 방향 인식 87
제5절 소결 100

제4장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과 사회통합 및 복지정책 인식 105
제1절 들어가며 107
제2절 분석 방법 108
제3절 분석 결과 112
제4절 소결 142

제5장 코로나19로 인한 건강영향과 사회통합을 위한 건강정책 인식 145
제1절 들어가며 147
제2절 연구 방법 147
제3절 분석 결과 149
제4절 소결 173

제6장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지지와 사회통합 및 사회갈등 영향요인 175
제1절 들어가며 177
제2절 연구 방법 178
제3절 분석 결과 182
제4절 소결 205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함의 207
제1절 주요 결과 및 함의 209
제2절 정책 제언 219

참고문헌 223
부록 229
[부록 1]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표본설계 229
[부록 2]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설문지 245
[부록 3] 코로나19의 영향과 사회통합 실태조사 기초분석 267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2022-04
ISBN
978-89-6827-868-6
DOI
10.23060/kihasa.a.2022.04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