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동기 유형별 ODA 효과성에 대한 국민 인식과 코로나19 맥락에서의 ODA 국민 지지도 간의 관계 = Public Perceptions on the ODA Effectiveness by Different Motivatio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the Public Support for ODA in the Context of COVID-19

제목
동기 유형별 ODA 효과성에 대한 국민 인식과 코로나19 맥락에서의 ODA 국민 지지도 간의 관계 = Public Perceptions on the ODA Effectiveness by Different Motivatio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the Public Support for ODA in the Context of COVID-19
저자

이서현

저자(타언어)
Lee, Seohyun
키워드
코로나19 ; ODA 국민인식조사 ; 원조 동기 ; ODA 효과성 ; 국민 지지도
발행연도
2022-12-31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인용정보
보건사회연구 제42권 제4호, pp.281-304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ODA 필요성 증가와 코로나19 백신 지원 의향으로 정의한 ODA 지지도가 네 가지 동기 유형별―경제적・정치적 이익으로 대변되는 현실주의, 공동체주의, 인도주의― ODA 효과성 인식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무조정실이 가장 최근 수행한 2021년 ODA 국민인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도구변수 프로빗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동기 유형별 효과성 인식에 따른 ODA 지지도의 예측확률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도주의적 관점의 ODA 효과성 인식은 코로나19 이후 ODA 필요성 증가 및 코로나19 백신 지원 지지도의 영향요인으로서 가장 높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는 인도주의 측면에서 ODA 효과성을 입증하는 것이 ODA 지지도 향상의 강력한 원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궁극적으로 전 세계적 건강 형평성 달성을 위한 국제보건의 여러 자원들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ODA의 작동원리가 공동체주의, 인도주의로 전향될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ISSN
1226-072X
DOI
10.15709/hswr.2022.42.4.281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미래질병위험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파일 다운로드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