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아동복지 재정 운용의 특징과 발전적 개선 방안 =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Welfare Finance Management and Developmental Improvement Measure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영숙
dc.date.accessioned2022-12-19T00:12:40Z
dc.date.available2022-12-19T00:12:40Z
dc.date.issued2022-12-01
dc.identifier.issn1226-3648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1084
dc.identifier.urihttps://doi.org/10.23062/2022.12.4
dc.description.abstract합계출산율의 하락세가 사회경제적 체제의 존립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악화되는 가운데 아동 양육에 대한 지원과 아동복지 실현이 국가 정책의 핵심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OECD 통계와 2021년 정부 본예산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 아동 재정 운용의 특징을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중앙정부의 아동 재정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연령별·특성군별로 분절된 다부처 사업 운영, 법정보조율이 높지 않은 국고보조 중심 사업, 보육 관련 유아기에 집중된 지원 구조 등이 특성으로 나타났다. 아동 재정의 효율성과 정책 실행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아동정책 수행체계 개선, 아동사업 국고보조율의 체계화와 적정화, 중앙정부 사업으로 일부 환원, 아동 생애 전반에 대한 지원 체계 확립 등의 개선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그리고 아동 수 감소나 효율성 제고에 따른 재정 여력 발생분을 아동 재정으로 환류하고,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교육 재정과 적절히 재원 배분을 하는 방안 등을 검토할 수 있다.
dc.description.abstractAs the total fertility rate declines to a level that threatens the socio-economic system, support for child rearing and the realization of child welfare are becoming the centerpiece of the national agenda. In this study, based on OECD statistics and analysis of central government budget data as of 2021,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child finance management and derived some improvement measures. Our analysis of the central government's child welfare finance found that current child welfare programs are multi-ministerial and segmented by age and characteristic groups, nationally subsidized but without sufficient level of legally mandated subsidization, and focused on child care support for children in early childhoo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hild welfare finance and the effectiveness of policy implementation, improvement measures can be sought for improving the governance of child policies, systematizing and optimizing the state subsidy rate for projects for children, returning part to central government projects, and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the entire life-cycle of children. In addition, policy makers may consider returning the financial capacity generated by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children or improved efficiency to child welfare finance, and an appropriate allocation of resources by the Education Finance Division for school-age children.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아동복지 재정 운용의 특징과 발전적 개선 방안
dc.title.alternativeThe Characteristics of Child Welfare Finance Management and Developmental Improvement Measure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가족 부문 OECD SOCX, 아동재정, 국고보조사업, 아동보호, 아동수당, 교육재정
dc.subject.keywordFamily Sector OECD SOCX, Children's Finance, National Treasury Subsidy Project, Child Protection, Child Allowance, Education Finance
dc.description.eprintVersionpublished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Youngsook
dc.identifier.doi10.23062/2022.12.4
dc.citation.title보건복지포럼
dc.citation.title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dc.citation.volume2022
dc.citation.volume314
dc.citation.number12
dc.citation.date2022-12-01
dc.citation.startPage34
dc.citation.endPage5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복지포럼 2022년 12월 통권 제314호, pp.34-5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22.12 No.314, pp.34-55
dc.date.dateaccepted2022-12-19T00:12:40Z
dc.date.datesubmitted2022-12-19T00:12:40Z
dc.description.subject인구구조 변화와 사회보장 재정정책의 대응 방안
dc.description.subjectDemographic Change and Social Security Fiscal Policy
dc.subject.kihasa사회보장재정
dc.subject.kihasa아동복지
dc.description.section이달의 초점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재정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