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전자의무기록(EMR) 인증제 확산을 위한 해외 사례 비교 연구 - 중소병원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Five Countries on Expand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Certification System - Focusing on Supports for Small Hospital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백주하
dc.contributor.author강희정
dc.contributor.author오수진
dc.contributor.author강성홍
dc.date.accessioned2022-10-27T07:41:10Z
dc.date.available2022-10-27T07:41:10Z
dc.date.issued2022
dc.identifier.isbn978-89-6827-859-4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945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2020년 6월 국내에서 시행된 전자의무기록(EMR) 인증제에서 의료기관 중 거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소병원(병원과 의원급 의료기관)의 인증제 참여 비율이 여전히 낮은 상황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해외 주요 국가들의 인증된 EMR 또는 전자건강기록(EHR) 시스템의 확산 방안에 대해 중소병원에 대한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국내 중소병원의 EMR 인증제 참여 확대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주요 내용으로, 국내 EMR 인증제 도입 배경과 내용, 인증제 현황, 인증제 확산 정책에 대한 동향과 한계점을 살펴보고, 해외 5개국(미국, 영국, 대만, 호주, 캐나다)에서 중소병원을 대상으로 시행했던 인증된 EMR 시스템의 확산 방안들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national efforts to expand the certified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among small hospitals in five countries: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Taiwan, Australia, and Canad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ive countries have commonly invested in substantial incentives and provided education to expand the certified EMR among small hospitals. Although each country had different backgrounds and procedures for the certified EMR expansion, the common goal was to establish an inter-operable EMR system.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providing financial incentives to small hospitals and closely collaborating with the EMR vendo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converting existing systems to the new certified systems. Also, it is needed to increase perceptions of small hospitals about benefits of using the certified EMR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제2장 국내 EMR 인증 현황 및 정책 동향 15 제1절 국내 EMR 인증제 도입 배경 및 내용 17 제2절 국내 EMR 인증제 현황 25 제3절 국내 EMR 인증 확산 정책 동향 및 한계점 28 제3장 중소병원 대상 인증된 EMR 확산의 해외 사례 33 제1절 미국 35 제2절 영국 45 제3절 대만 55 제4절 호주 66 제5절 캐나다 77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89 제1절 주요 결과 비교 91 제2절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99 참고문헌 105
dc.formattext/plain
dc.formattext/html; charset=utf-8
dc.format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dc.format.extent12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전자의무기록(EMR) 인증제 확산을 위한 해외 사례 비교 연구 - 중소병원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Comparative Study of Five Countries on Expanding 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Certification System - Focusing on Supports for Small Hospital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전자의무기록(EMR)
dc.subject.keyword전자건강기록(EHR)
dc.subject.keyword인증제
dc.subject.keyword중소병원
dc.subject.keywordelectronic medical record
dc.subject.keywordelectronic health record
dc.subject.keywordcertification system
dc.subject.keywordsmall hospital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aek, Juha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Hee-Ch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Sujin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ang, Sunghong
dc.type.other기타보고서
dc.identifier.doi10.23060/kihasa.i.2022.02
dc.identifier.localId워킹페이퍼 2022-02
dc.identifier.localIdMiscellaneous Reports 2022-02
dc.citation.date2022
dc.date.dateaccepted2022-10-27T07:41:10Z
dc.date.datesubmitted2022-10-27T07:41:10Z
dc.type.research정책연구
dc.type.nkis기타보고서
dc.subject.nkisMainJ
dc.subject.nkisMiddleJ1
dc.type.project기타보고서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서비스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자원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서비스
보건의료 > 보건의료 자원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링크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