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자녀 양육과 고령자의 건강,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The impact of grandparent caregiving on health, cognitive function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older people
DC Field | Value |
---|---|
dc.contributor.author | 최경덕 |
dc.contributor.author | 권현진 |
dc.contributor.author | 최인선 |
dc.contributor.author | 이윤경 |
dc.date.accessioned | 2022-10-27T07:23:17Z |
dc.date.available | 2022-10-27T07:23:17Z |
dc.date.issued | 2022 |
dc.identifier.isbn | 978-89-6827-861-7 |
dc.identifier.uri | 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40943 |
dc.description.abstract | 기대수명의 증가와 영유아 사망률 감소 등으로 인해 과거에 비해 고령자가 조부모가 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손자녀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비공식 돌봄 중 하나로서 고령자의 손자녀 양육은 여러 국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손자녀 양육이 고령자의 건강,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인과효과를 손자녀 양육 선택의 내생성을 고려하여 엄밀히 추정하였다. 손자녀 양육은 고령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자녀 양육은 고령자가 스스로의 건강상태를 보통 이상이라고 간주할 확률을 상승시키며, 인지기능과 전반적 삶의 질 만족도를 개선시켰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여성 고령자와 55-74세 고령자에게서 두드러졌으며, 양육 여부 외에 양육한 손자녀 수, 양육 기간, 주당 양육 시간 등 양육 강도도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 전반적 삶의 질 만족도와 양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 | Grandparent caregiving is becoming comm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as one of the informal care in many countrie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grandparent caregiving has a causal effect on grandparents’ health, cognitive function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To assess the causal effect, we estimate a fixed effects instrumental variable model by using the presence of a child aged 30-39 years and a married child as instruments. The estimation results reveal that grandparent caregiving has a positive effect. Grandparent caregiving is predict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considering own health status as above average by 46.1%p, improve cognitive functioning by 10.256 points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quality of life by 20.047 points. In addition, the effect is noticeable among females as well as aged 55-74 year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선행연구 검토 13 제1절 고령자의 손자녀 양육 현황 관련 선행연구 15 제2절 고령자의 손자녀 양육 효과 관련 이론적 논의 20 제3절 고령자의 손자녀 양육 효과 관련 선행연구 22 제3장 손자녀 양육 현황 27 제1절 데이터 29 제2절 고령자의 손자녀 양육 현황 31 제3절 고령자의 특성과 손자녀 양육 현황 35 제4절 소결 50 제4장 손자녀 양육과 고령자의 건강,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 51 제1절 손자녀 양육 여부에 따른 고령자의 건강,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 53 제2절 실증분석 방법론 및 변수 구성 60 제3절 손자녀 양육이 고령자의 건강,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71 제4절 소결 87 제5장 결론 89 참고문헌 95 부 록 101 부록 고령자의 특성에 따른 건강,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 분석 101 |
dc.format | text/plain |
dc.format | text/html; charset=utf-8 |
dc.format | application/rdf+xml; charset=utf-8 |
dc.format.extent | 114 |
dc.language | kor |
dc.publisher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dc.publisher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dc.rights | KOGL BY-NC-ND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dc.rights.uri | 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
dc.title | 손자녀 양육과 고령자의 건강, 인지기능 및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dc.title.alternative | The impact of grandparent caregiving on health, cognitive function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older people |
dc.type | Book |
dc.type.local | Report |
dc.subject.keyword | 고령자 |
dc.subject.keyword | 돌봄 |
dc.subject.keyword | 손자녀 |
dc.subject.keyword | 건강 |
dc.subject.keyword | 인지기능 |
dc.subject.keyword | 삶의 만족도 |
dc.subject.keyword | elderly |
dc.subject.keyword | caregiving |
dc.subject.keyword | grandchildren |
dc.subject.keyword | health |
dc.subject.keyword | cognitive functioning |
dc.subject.keyword | satisfaction with life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Kyong Duk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won, Hyunji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Choi, Insu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Yunkyung |
dc.type.other | 기타보고서 |
dc.identifier.doi | 10.23060/kihasa.i.2022.04 |
dc.identifier.localId | 워킹페이퍼 2022-04 |
dc.identifier.localId | Miscellaneous Reports 2022-04 |
dc.citation.date | 2022 |
dc.date.dateaccepted | 2022-10-27T07:23:17Z |
dc.date.datesubmitted | 2022-10-27T07:23:17Z |
dc.type.research | 정책연구 |
dc.type.nkis | 기타보고서 |
dc.subject.nkisMain | J |
dc.subject.nkisMiddle | J1 |
dc.type.project | 기타보고서 |
dc.subject.kihasa | 가족변화 |
dc.subject.kihasa | 고령화대응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